올 11월 미국 소매판매가 시장의 전망치를 웃돌았다. 미국 경제가 호황을 이어가면서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될 전망이다.
17일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1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7% 증가했다. 시장 전망치인 0.6%를 소폭 웃돌았다. 전자상거래 매출 등이 소매판매를 탄탄하게 뒷받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달 블랙프라이데이 등 쇼핑 시즌 동안 소비자들이 할인된 가격에 지출을 늘렸다”며 “소득 증가로 소매판매가 회복력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일부 소비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예고한 관세 정책으로 제품 가격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우려에서 미리 고가 품목을 구입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Fed가 18일(현지시간)로 예정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되 동결 신호를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른바 ‘매파적 인하’다. 경제가 호황을 이어가는 가운데 한 달 뒤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펼칠 관세 정책 등에 따라 물가 상승 우려가 높다는 판단에서다. 배런스는 “이달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와 함께 제롬 파월 Fed 의장이 (매파적) 선제 지침을 낼 것”이라고 했다.
지난 9월만 해도 Fed는 점도표에서 금리 전망을 올해 말 연 4.4%, 내년 말 연 3.4%로 내놨다. 0.25%포인트씩 인하한다고 가정할 때 내년에 네 차례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 ING는 “내년 금리 인하 횟수가 3회에 그칠 것”이라고 판단했다.
최근 Fed 위원들은 지나친 금리 인하를 경고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한 데다 고용 붕괴 우려도 사라졌다는 판단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