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만원짜리 폰이 공짜" 성지 갔다가 '깜짝'…이유 알고보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핸드폰 사면 오히려 돈 받아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전쟁'
출렁거리는 통신 시장
일부 판매점 '고액 리베이트'
가입자에 최대 95만원 지급
단통법 폐지안 지난달 통과
통신사, 판매 장려금 늘려
작년 번호이동 600만 건 넘어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전쟁'
출렁거리는 통신 시장
일부 판매점 '고액 리베이트'
가입자에 최대 95만원 지급
단통법 폐지안 지난달 통과
통신사, 판매 장려금 늘려
작년 번호이동 600만 건 넘어

5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판매점에서 신규 가입과 번호이동 고객을 대상으로 70만~95만원에 이르는 ‘리베이트’가 지급되고 있다. 리베이트는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 등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보조금을 제외한 일종의 불법 보조금이다. 출고가가 115만5000원인 삼성전자 갤럭시S24는 고가 요금제를 쓰면 공시지원금 최대 53만원과 추가지원금 7만9500원(공시지원금의 15%)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리베이트 95만원을 얹으면 오히려 40만원가량을 돌려받는 셈이다. 최상위 모델인 갤럭시S24울트라도 고가 요금제를 쓰고 리베이트를 최대로 받을 경우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을 합치면 단말기 할부 원금이 20만원 밑으로 떨어진다.

현재 공시지원금의 15%를 넘는 유통점의 추가지원금은 불법이다. 하지만 지난달 단말기 유통법 폐지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해당 추가지원금 지원은 합법화를 앞두고 있다. 단말기 유통법 폐지안은 공포 6개월 후 시행된다. 단말기 유통법이 폐지되면 추가지원금 상한이 없어지고 신규 가입, 번호이동, 기기 변경 등 가입 유형과 요금제에 따른 차별 금지도 사라진다. 사업자 간 지원금 경쟁이 활성화되는 여건이 조성되고, 다양한 방식의 마케팅 전략을 펼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한다.
지원금을 받지 않는 소비자가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는 선택약정 할인 제도(현재 25%)는 유지된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단말기 유통법 폐지 방침을 밝히며 번호이동 고객에게 추가로 지원금을 주는 ‘전환 지원금’을 도입하는 등 보조금 확대를 장려해왔다.
단말기 유통법 폐지안이 시행되고 보조금 경쟁이 치열해질 경우 통신사를 옮기는 번호이동 건수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해 번호이동 건수는 629만5188건으로 전년 대비 12.2% 늘었다. 번호이동 수치가 600만 건을 넘어선 것은 2017년(701만 건) 이후 처음이다. 번호이동 건수는 단말기 유통법 시행 전인 2013년 1000만 건을 넘었지만 2014년 법 시행 이후 꾸준히 줄어 2022년 453만 건까지 떨어졌다. 2023년 다시 561만 건으로 늘었다. 2023년 5G 중간요금제, 지난해 2만~3만원대 저가 5G 요금제 등이 잇달아 출시되면서 번호이동이 늘어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023년 ‘0원 요금제’를 시작으로 알뜰폰 가입자가 꾸준히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승우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