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전경.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제공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전경.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 제공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는 일본 이비덴㈜의 100% 출자로 2011년 경북 포항에 설립한 한국 생산 거점의 자회사로서 소재 생산부터 가공까지 일관생산 라인을 구축한 한국 유일의 등방성 인조흑연(그라파이트) 제조회사다.

서재현 대표이사
서재현 대표이사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는 2014년부터 등방성 인조흑연 생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해 2020년 1000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는 등 빠르고 탄탄하게 성장했다. 2020년 가공라인을 증설해 부가가치가 높은 인조흑연 2차 가공 제품을 생산·납품하기 시작했고, 2023년 6월 생산 설비 증설을 통해 기존의 두 배에 달하는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이 같은 지속적인 시설 투자와 노력으로 2024년 2000만달러 수출을 달성하며 2000만불 수출의 탑을 거머쥐었다.

흑연은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으로 나뉜다. 천연흑연은 배터리의 음극 등 비교적 저가 제품에 사용되며, 이방성 인조흑연은 제철산업에서 쇠를 녹이는 전극봉으로 활용된다. 1000도에서 1차 가공한 뒤 3000도에서 2차 가공해 완성하는 등방성 인조흑연은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주요 산업 소재이자 전략 물자다.

특정 방향에 상관없이 물리적, 전기적 성질이 동일한 소재로 내열성과 열 충격에 강하고,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가공이 쉬운 데다 접착력이 좋고 표면 다듬질이 쉬운 등방성 인조흑연은 무궁무진한 응용 범위를 자랑하는 ‘팔방미인’으로 통한다. 이 같은 특성에 따라 반도체, 원자력, 자동차, 항공기 등과 같이 다양한 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소재로 자리매김했다. 고온이 발생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외벽 및 설비나 미사일, 반도체 소재인 실리콘 웨이퍼 생산설비의 핵심 부품인 히터와 도가니 등에도 등방성 인조흑연이 사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장점을 가진 소재지만 이를 생산하는 기업은 전 세계를 통틀어 일본과 프랑스, 독일, 미국 등 몇 곳에 불과했다. 고열에서 가공 기술을 적용해야 하기에 상당한 난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까닭이다.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는 100% 수입에 의존해오던 등방성 인조흑연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생산함으로써 반도체 등 관련 업계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데 기여했다.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는 설비 증설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2024년 12월 24일 포항시, 경상북도와 약 650억원 규모의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 체결로 2029년까지 기존 공장 부지 내에 650억원 규모의 등방성 인조흑연 생산을 위한 설비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 투자가 완료되면 연간 생산능력이 총 5400t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업부설 연구소에서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전환(DX)을 활용한 공정자동화, 신소재 개발 및 열처리 공법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통한 탄소 중립화 연구 등 기술개발(R&D)에 30억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생산 능력 확대에 따라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신규 인력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품질 경영 역시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의 특징이다. 흑연 소재부터 제품화할 때까지 생산 리드타임이 4~6개월이 소요되는 등방성 인조흑연의 제품적 특성에도 양질의 제품 생산·가공·납품이 가능한 국내 순수 생산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이 같은 실적을 인정받아 2023년 한국브랜드평가위원회(KBEI)가 주최하는 2023년 한국브랜드 소비자 평가에서 대상을 받았고, 2023년 외국기업의 날 행사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비덴그라파이트코리아는 품질 경영 국제기준인 ‘ISO9001’을 취득하고, 환경경영 및 안전보건경영 국제기준인 ‘ISO14001’과 ‘ISO45001’을 취득하는 등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안전하게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ESG(경제·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지역 환경 정화, 애육원 정기 봉사 및 기부 활동, 대민 지원 및 지진 피해 복구 지원 등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다양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이와 같은 다방면의 지역사회 공헌 활동을 인정받아 매년 경상북도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 주관하는 지역사회 공헌 인정기업에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선정됐다.

박미옥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