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월의 월급’ 연말정산을 위한 간소화 서비스가 지난달 15일 시작됐다. 다만 월세, 기부금 등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되지 않는 서류는 따로 챙겨서 다음달까지 회사에 제출해야 한다. 올해는 혼인과 출산을 지원하는 연말정산 공제 혜택과 적용 요건이 달라진 게 많아 꼼꼼히 챙겨 봐야 한다.
아내 명의로 받은 주담대, 함께 갚아도 남편은 '소득공제 X'

결혼 자금, 연봉 많은 배우자 명의로 지출

2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한 신혼부부나 결혼 준비 자금을 쓴 예비부부는 결혼 준비 자금을 사용할 때 총급여가 많은 배우자 명의로 지출하는 게 유리할 수 있다. 예식장 대여비와 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등으로 평소보다 지출이 늘어 신용카드 소득공제 세제 혜택 등을 최대한 누릴 수 있어서다. 근로소득공제는 근로자에게만 혜택을 주기 때문에 근로소득이 있는 배우자가 신용·체크카드로 결혼 준비 자금을 우선 쓰는 게 합리적이다.

지난해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이번 연말정산에서 신랑과 신부가 각각 50만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 혜택은 2026년 혼인신고를 하는 부부까지 적용되며, 생애 1회만 가능하다. 신혼부부 중엔 배우자 한 명이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신혼집을 마련한 다음 부부가 함께 빚을 갚는 경우가 많은데, 신혼집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면 이자 상환액을 소득공제받을 수 없다. 세법에 따르면 작년 기준 기준시가가 6억원 이하인 주택을 취득하면서 상환 기간이 10년을 초과하는 주담대를 받은 가구주는 최대 2000만원까지 이자 상환액을 소득공제받을 수 있다. 가구주가 주담대 이자 상환액 공제·주택마련저축·주택 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을 공제받지 않았다면 가구원도 공제받는다. 다만 주택명의자와 담보대출 명의자는 일치해야 한다. 함석환 세무사는 “신혼집의 소유권 이전 등기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주담대를 실행해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동거 여부 등과 관계없이 동일한 1가구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결혼 전 홀로 월세를 내며 살다가 결혼한 김모씨가 결혼 후 배우자 단독명의로 집을 마련한 다음 직장 사정으로 동거하지 않고 월셋집에 계속 거주할 경우 월세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다. 국세청 관계자는 “과세기간 종료일인 12월 31일 기준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가구주와 가구원은 월세액 세액공제와 주택청약 저축 소득공제, 주택 임차 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육아휴직급여 받아도 기본공제 대상

지난해 아이를 출산한 부부는 연말정산 항목으로 기본공제와 출산 세액공제, 의료비 혜택 등을 챙겨야 한다.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에 회사에서 받은 출산지원금은 두 차례까지 비과세된다. 부모 중 한 명은 지난해 출생한 자녀에 대해 150만원의 기본공제와 출산 세액공제(첫째 자녀 기준 30만원)를 받는다. 산후조리원 비용은 지난해부터 총급여 제한 없이 출산 1회당 200만원 한도로 공제 대상 의료비에 포함된다. 자녀를 출산해 육아휴직급여를 받을 배우자는 기본공제 대상으로 신고할 수 있다. 정부에서 받는 육아휴직급여는 비과세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인데, 육아휴직급여를 제외한 연 소득은 100만원을 넘지 않아야 한다.

의료비는 통상 소득이 적은 사람의 카드로 몰아서 지출하는 게 유리하다. 의료비 세액공제 기준은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의 15%다. 소득이 적을수록 공제 기준을 맞출 가능성이 크다. 국세청 관계자는 “국세청의 국세행정 홈페이지인 홈택스에 들어가 ‘맞벌이 근로자 절세 안내’를 활용하면 최적의 공제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난임부부의 경우 아이를 갖기 위해 시험관 등의 시술을 하게 되는데 난임 시술비도 의료비 세액공제에 해당한다.

이광식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