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커진 증시…다시 박스권 생존 모드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탄핵 결론·트럼프 관세·빅테크 실적 우려…
코스피 상단 당분간 2600~2700선 예상
반도체·방산·조선…기존 주도주 힘 받을듯
소프트웨어 종목은 'AI 모멘텀' 올라타
미국채 같은 안전자산 비중 확대 바람직
코스피 상단 당분간 2600~2700선 예상
반도체·방산·조선…기존 주도주 힘 받을듯
소프트웨어 종목은 'AI 모멘텀' 올라타
미국채 같은 안전자산 비중 확대 바람직

◇ ‘상승 스토리’ 깨진 코스피지수

국내 증시가 짧은 기간 큰 폭으로 뛰었지만 상승 여력이 있다는 것이 지난달 28일 ‘검은 금요일’ 전까지의 증권가 주류 전망이었다. 지난달 19일만 해도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3월, 국장의 매력’이란 보고서를 내고 “3월부터 강세장을 예상한다”고 했다. “코스피지수가 최대 3000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검은 금요일 당일 코스피지수가 단번에 3.39% 내리며 2500선까지 위협하자 분위기는 반전됐다. 외국인은 이날만 1조8450억원을 순매도했고 연기금도 235억원을 내던지며 순매도로 전환했다.
최근 2개월간의 흐름을 되짚어봐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싸다’는 이유로 낙관적인 전망을 이어가기엔 빈틈이 많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이 분석한 올해 주가 상승의 원인은 크게 계엄 사태의 반작용, 딥시크의 대두, 연기금의 매수 등으로 좁혀진다. 계엄 사태 이후 코스피지수가 2300선까지 하락한 상황에서 중국 인공지능(AI)업체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항셍테크지수 등이 반등하며 신흥국으로 자금이 돌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 비중을 늘리고 있다. 연기금은 지난달 27일까지 39일간 순매수를 이어왔다.
이종형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검은 금요일 이후 엔비디아의 하락과 함께 연초 상승세를 부른 세 가지 ‘스토리’가 깨졌다”며 “미국 경기 지표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시장을 이끌 주체가 사라졌다”고 평가했다.
◇ 금·채권으로 ‘시간 벌기’ 전략을

기존 주도주가 더 힘을 받는 장세가 펼쳐질 것이란 전망도 이 같은 약세장 진단을 기반으로 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는 차익 실현 욕구를 부르며 수익률 상위 주도주의 단기 하락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도 “2021년처럼 반도체주 주가에 별 반전이 없다면 비싼 주도주들이 그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방산·조선·엔터 등 올해 주도주로 떠오른 업종은 아직도 이익 증가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AI 모멘텀(동력)에 올라탄 소프트웨어주에도 수요가 많이 몰릴 것이란 관측이다.
전반적으로 주식 비중을 늘리는 것엔 신중하라는 조언도 일각에서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코스피지수 2600 이상에선 매도하는 게 실익이 크다고 판단한다”며 “상반기까지는 주식보다는 안전자산 비중을 확대해 증시 방향성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전자산 중에선 채권 투자가 유리하다는 평가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은 가격 전망이 여전히 밝지만, 최근 급등에 따른 고점 부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채권은 한국채를 중심으로 미 국채를 섞어 담고, 10년 이상 장기물과 3년 이하 단기물을 반반씩 넣어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시은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