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완도 우리 땅" 中 네티즌 주장에…필리핀 "터무니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일(현지시간) 필리핀 일간 인콰이어러와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틱톡 중국 버전인 더우인과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훙수 등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지난 1월부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게시물이 올라오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들은 SNS 게시물을 통해 팔라완이 1400년대 '정화의 대원정'을 이끈 중국 명나라 환관이자 탐험가인 정화(鄭和·1371∼1434년)의 이름을 따 '정허다오'(鄭和島)로 명명된 중국 땅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역사적으로 팔라완은 중국에 속한다. 우리가 팔라완을 잃은 이유를 우리의 힘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영상을 올려 1만4000개 가까운 '좋아요'를 받았다고 SCMP는 전했다.
팔라완은 중국 영토에서 1500㎞ 이상 떨어져 있고, 중국 정부도 팔라완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지 않고 있지만, 이 같은 주장이 SNS에서 확산하자 필리핀 정부 측에서도 성명을 내고 반박했다.
최근 필리핀국가역사위원회(NHCP)는 성명을 통해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5만년 전부터 사람이 지속해서 거주해온 팔라완에 중국인 인구가 정착했음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필리핀 해군 대변인인 로이 빈센트 트리니다드 준장도 전날 기자들과 만나 "중국의 팔라완 영유 주장은 완전히 터무니없다"면서 "필리핀의 일부가 다른 나라의 주권 영토에 포함되는 일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허위 주장은 정보전의 일부"라면서 "SNS와 표현의 자유가 정부에 의해 규제되는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에두아르도 아노 필리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 같은 주장이 중국 정부나 중국 주류 언론 매체에서 나온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한 뒤 "이런 거짓 서사는 필리핀의 주권을 훼손하고 필리핀과 중국 양국의 대중 인식을 조작하려는 노력의 일부인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