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빽다방' 플라스틱 논란에 또 사과…"신입 실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더본코리아는 17일 입장을 내고 "점포 내 발생한 민원에 대해 사과의 말씀 드린다"며 "이번 민원은 매뉴얼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매장 신입 직원의 실수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더본코리아가 운영하는 커피 프랜차이즈 빽다방에서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빵을 전자레인지에 돌려 플라스틱이 찌그러진 채로 받았다는 글과 사진이 게재돼 논란이 됐다.
작성자는 빽다방 본사에 문의했으나 "용기째 데우는 것이 본사 지침"이라는 답변받았다고 전했다. "해당 용기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재질로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
하지만 논란이 된 용기는 전자레인지에도 돌려 사용해도 안전하다고 인증된 PP 소재나 HDPE 소재가 아닌 'PET'라는 표기가 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PET 재질의 용기는 전자레인지 사용에 적합하지 않으며 가열 시 유해 물질이 나올 가능성이 있고 변형될 위험이 있다. 실제 작성자가 올린 사진 역시 용기가 찌그러져 있다.

그러면서 "향후 이와 같은 민원이 재발하지 않도록 점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최근 더본코리아는 통조림 햄 가격과 돼지고기 함량 논란을 시작으로 연일 잡음이 나오고 있다. 더본코리아에서 출시한 빽햄은 '국산 돼지고기 100%'를 사용했다고 홍보했지만, 경쟁사 제품보다 돼지고기 함량이 낮고 가격이 비싸 비판의 대상이 됐다.
이후 백종원 대표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선보인 영상들도 논란의 대상이 됐다. 실내 주방에서 고압 가스통을 가까이 둔 채 요리하는 장면이 공개되면서 안전 수칙을 위반했다는 지적이 나와 과태료 처분을 받았고, 더본코리아가 충남 예산군에서 농지법 및 건축법을 위반한 혐의로 고발된 사실이 알려졌다. 더본코리아는 농업용으로 사용해야 할 비닐하우스를 창고로 운영하다가 적발돼 행정처분 사전 통지받았으며 지난해 12월 이를 철거했다.
여기에 식품 원산지 표기 문제도 논란이 됐다. 더본코리아에서 생산하는 '백석된장'과 유통하는 '한신포차 낙지볶음'이 원산지 표시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올랐다. 백석된장은 중국산 개량 메주 된장과 미국·캐나다·호주산 대두를 사용하면서도 국산 제품으로 홍보됐고, '한신포차 낙지볶음'은 국내산 마늘을 사용했다고 광고했으나 실제로는 중국산 마늘이 포함되어있었다.
여기에 홍성 글로벌 바비큐 축제에서 농약 분무기에 사과주스를 담아 뿌리는 퍼포먼스를 진행해 문제가 됐다.
한편 백종원 대표는 지난 13일 연이은 논란에 "그동안 제기된 모든 문제를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 제 불찰"이라며 "질책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법적 사항을 포함한 모든 내용에 대해 신속히 개선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사과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