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옥자라니? 봉준호표 인장들로 가득한 '미키17'의 마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화 <미키17> 릴레이 리뷰 ④
인간 중심을 넘어선, 봉준호식 휴머니즘
사랑은 우리 삶은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
인간 중심을 넘어선, 봉준호식 휴머니즘
사랑은 우리 삶은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17>이 언론 시사회를 통해 공개되자 전문가들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봉 감독 영화 중 단연코 최고"라는 호평이 있는가 하면 "심각하게 실망스럽다"라는 혹평도 나왔습니다. 아르떼는 <미키17>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전달하기 위해 릴레이 리뷰를 게재합니다.
세계적인 거장 봉준호 감독은 영화 <기생충>(2019)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시상식(2020)에서 작품상을 비롯한 주요 부문 4관왕이 됨으로써 세계영화사를 새로 썼다. 이후 6년 만에 영화 <미키17>(2025)을 지구촌에 펼쳐놓았다. 한국 영화의 자부심이 된 봉 감독의 새로운 영화에 대한 한국 관객의 기대와 세계적인 관심에 부응한 듯, 막대한 할리우드 자본으로 의미 깊은 영화가 우리 앞에 진격한 것이다.
지구인들이 외계 행성 니플하임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2054년을 배경으로, 다른 사람들과 달리 변변한 기술이 없던 미키 반스(로버트 패틴슨)는 사채업자를 피해 무조건 지구를 떠나야 했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잘 읽어보지도 않고 ‘익스펜더블’에 자원해서 니플하임행에 탑승한다. 그런데 ‘익스펜더블’은 로봇이 하던 위험한 실험을 진짜 인간이 대신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죽게 되면 휴먼프린팅 기계에서 다시 육체가 태어나고 그간의 기억은 머릿속에 이식되는 것이다.

<미키17>이 장르적으로 가장 유사한 영화는 <옥자>(2017)다. 주제 면에서 인간의 과학기술 발달이 지구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것을 부각하는 것은 물론 우리가 무시하거나 경계하는 괴생물체가 실은 보듬어가며 함께 살아가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말한다는 점이다. 니플하임 행성에서 이미 살아가고 있는 크리퍼라는 갑각류의 괴생명체를 무조건 적대시하면서 죽이려고만 드는 비행선의 사람들, 또한 ‘익스펜더블’이 죽는 것을 당연시하며 미키 반스의 존재는 인정하지 않고, 번호로만 인식하는 사람들이 바로 <옥자>에서의 적대자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스릴러의 절정인 <살인의 추억>(2003)은 연쇄살인범을 잡으려는 경찰의 추적과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어 잡지 못하게 되는 살인범과의 긴장이 잠시도 숨을 쉴 수가 없게 만드는 이유이기도 했다. <괴물>(2006)은 한강 변과 한강이라는 일상적인 공간에서 괴물이 나타나서 사람을 잡아채 가며 공포를 조장한다. 언제 어느 때 괴물이 나타날지 모르는 긴장감과 사람을 훅 낚아채서 아무도 발견할 수 없는 곳에 감춘다는 사건의 긴장감이 영화에 몰입하게 만든다. <마더>(2009)에서도 역시 여고생을 살해하여 시신을 장독대에 얹어놓은 사건과 범인이 과연 누구인가를 추적해 가는 과정에서 긴장감을 유발한다. 추후 범인의 엄마가 아들이 범인이라는 것을 아는 목격자가 사는 집에 불을 내서 목격자를 죽게 하는 사건이 들킬까 봐 마음 졸이면서 보게 하는 날 선 긴장감은 봉준호표 인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미키17>은 그런 스릴러적 긴장감을 선택하는 대신 독재자와 독재자 주변에 기생하는 사람들의 행태를 비판하고 타자를 무조건 정복하려는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는 휴머니즘의 구현을 선택했다. 다분히 <옥자>와 유사한 선택을 한 것이다. 악덕 글로벌기업 ‘미란도’의 대표인 쌍둥이 자매 낸시와 루시가 본인들의 업적 과시만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미키 17>의 마샬과 일파에 겹쳐진다.

<미키 17>에서 약간 찌질한 면이 있는 ‘미키17’보다 여자 친구 ‘나샤’(나오미 아키에)가 능력적으로 훨씬 우월하다는 점도 마찬가지다. 미키는 함께 동침했던 냐샤가 멋진 경찰복을 입는 것을 도와주며 옷의 먼지까지 털어주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후반부 멋진 판사 제복을 입는 나샤를 도와주는 장면으로도 변주된다. 물론 니플하임 행성의 책임자로서 연설하는 장면도 여성을 최고 리더로 세우는 페미니즘적 관점을 견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플란다스의 개>에서 윤주가 옥상에서 던져 죽인 강아지 ‘아가’의 주인 할머니가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며 아가의 시신을 찾아준 현남에게 꼭 전해주라는 편지가 있었다. 간호사가 그 편지를 전해주려 하자, 큰 유산이라도 남겼을 것 같은 생각에 현남은 자신은 별반 한 일이 없다며 부끄러워하면서 편지를 전해 받는다. 그러나 편지 안에는 “옥상에 무말랭이 있으니, 꼭 가져다 먹으라”는 내용이어서 실소를 머금게 한다. <미키17> 역시 과장된 캐릭터인 독재자 마샬(마크 러팔로)과 그의 아내 일파(토니 콜렛)의 모습은 코믹한 정치풍자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미키 17>에서의 배우들의 연기도 <기생충>이 미국 배우조합상 앙상블상을 받았던 것처럼 연기자 모두 조화로운 연기 앙상블을 보였다. 멀티플이지만 다른 캐릭터였던 미키17과 미키18을 연기했던 로버트 패틴슨의 표정과 엑센트를 비교하는 재미도 영화를 보는 즐거움을 배가시켰다.

그런데 <미키17>에는 그동안의 봉준호 감독 영화와 확연하게 차별화되는 점도 드러난다. ‘미키17’을 지켜준 여자 친구 ‘나샤’와의 가슴 뭉클한 멜로 라인이 새롭게 자리 잡은 점이다. 그동안 봉준호 영화에서는 로맨스는 나오지 않았다. 죽어야 하는 익스펜더블 미키가 들어간 유리 부스에 함께 들어가 미키를 품에 안고 있는 나샤와의 멜로 신은 그동안 봉준호 영화를 보고 느낄 수 없었던 감성적 터치로 눈물이 흐르게 한다. 사랑이 우리 삶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메시지가 그동안 봉준호 영화에서 긴장감이 주조를 이루던 것과는 차별화된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