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4800원 무선이어폰' 中 공세에…삼성·LG도 결국 '백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WS 시장, 1년 전보다 7% 성장
전체 판매량 절반은 50달러 미만
150달러 미만 중저가 비중 77%
삼성, 주요 시장서 플래그십 가격↓
LG, 지난 1월 10만원대 제품 출시
"ANC 외 차별화 無…가격경쟁 심화"
전체 판매량 절반은 50달러 미만
150달러 미만 중저가 비중 77%
삼성, 주요 시장서 플래그십 가격↓
LG, 지난 1월 10만원대 제품 출시
"ANC 외 차별화 無…가격경쟁 심화"

28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 결과 지난해 전 세계 무선이어폰 시장은 판매량 기준으로 전년 대비 7% 성장했다. 애플과 가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애플과 삼성전자도 저가 제품을 앞세워 가격 경쟁에 뛰어들었다. 애플은 2021년 에어팟3를 출시한 지 약 3년 만인 지난해 9월 소음을 차단하는 액티브노이즈캔슬링(ANC) 기능을 뺀 19만원대 '에어팟4'를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에서도 갤럭시 버즈 전체 제품군 가격을 대폭 낮췄다. 갤럭시 버즈3 일반형은 보상판매(트레이드인) 없이 99달러에 판매한다. 출시가(179달러)와 비교하면 80달러 더 저렴한 셈이다. 갤럭시 버즈 FE 판매가는 79달러로 출시 당시보다 20달러 더 내렸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무선이어폰을 가격대별로 나눠 보면 101~149달러 구간에 해당하는 제품 판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 구간 제품이 전체 판매량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하반기 기준 8%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 15%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100달러 이하 저가 제품군을 합하면 150달러 미만 제품의 판매 비중은 지난해에만 총 77%에 달한다. 전년보다 3%포인트 늘어난 것. 150달러 이상 제품군의 경우 같은 기간 27%에서 22%로 5%포인트 쪼그라들었다. 특히 50달러 미만 초저가 제품군은 이 기간 49~51% 비중을 차지해 전체 시장을 지탱했다.

카운터포인트는 "그간 무선이어폰 제조사들은 ANC 이후 차별화 포인트를 찾지 못하면서 가격 경쟁이 심화됐고 시장은 50달러 이하 가격대 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했다"며 "다른 주요 IT 기기인 스마트폰·태블릿 등에서 가격 양극화가 진행되는 것과는 달리 무선이어폰 시장에선 전반적으로 가격이 인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