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덮친 '최악의 산불'…영덕선 바다 위 선박도 불에 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불 피해 서울 면적 80% 잿더미
사망 30명, 주택 3200채 불에 타
사망 30명, 주택 3200채 불에 타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국 11개 지역에서 발생한 중대형 산불영향구역은 총 4만8238.61ha에 달한다. 이는 서울 전체 면적(6만0520ha)의 약 80%에 해당하는 규모다.
산불은 경남 산청·하동,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울산 울주, 전북 무주, 경남 김해, 충북 옥천 등 11개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 중 10개 지역은 진화가 완료됐고, 산청·하동 지역은 진화율 99%를 기록하고 있다.
사망 30명·시설 피해 6192건… 최악의 산불
이번 산불로 총 75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이 중 사망자는 30명, 중상 9명, 경상 36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북에서만 59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해 가장 피해가 컸다.시설 피해는 잠정적으로 6192건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주택 피해는 3397건에 달하고, 전소된 주택은 3265채에 이른다. 피해가 집중된 경북 안동 지역에서는 주택 1000채 이상이 피해를 입었다. 안동에서는 연매출 100억원대의 남후농공단지 소재 기업 13곳(예미정김치·경북산업 등)이 전소됐으며 9곳이 일부 소실됐다. 영덕에서는 바다에 떠있는 선박 20여척이 불에 탔다.
문화재 피해도 이어졌다. 보물 2건과 국가민속문화유산 1건을 포함해 국가지정 11건, 시도지정 19건 등 총 30건의 문화재가 피해를 입었다. 이에 정부는 하회마을과 주왕산 일대에 방염포 설치, 벌채 등 긴급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

이재민 6300여명…대피소 106곳 운영 중
이재민도 대거 발생했다. 현재까지 3799세대, 6323명이 전국 106개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 경북 안동·의성 등 자택이 불에 타 갈 곳이 없는 이재민이 대부분이다.정부는 생필품·식음료 등을 포함해 83만점 이상의 구호물품을 피해 지역에 공급했고, 응급 심리지원 674건과 심리상담 3778건도 진행했다. 권역트라우마센터 등과 연계해 24시간 심리 응급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정부는 지난 22일 울산, 경북, 경남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산청·울주·의성·하동과 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총 8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은 피해 복구 비용의 일부를 국고로 지원받고, 건강보험료·지방세 감면 등 36개 항목의 간접 지원도 받는다. 또 중앙합동지원센터와 지자체 지원센터를 연계해 장례·금융·법률 상담 등 원스톱 민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한편 산불 여파로 경북 서산영덕 구간 고속도로 중 북의성IC~청송IC(29km)는 여전히 통제되고 있다. 전력·통신 장애도 일부 지역에서 이어지는 가운데,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중대본 관계자는 “주말까지 전 지역의 잔불 진화를 마무리하고, 재발화 방지를 위한 순찰을 강화하겠다”며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범정부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기부금 553억…사망자·피해자에 긴급생계비 300만원 지원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을 통한 국민 성금은 지난 28일 기준 총 553억7000만원이 모였다. 대한적십자사에만 전국에서 기부금 170억원이 모였다. 기부 단체는 경남 산청·하동과 경북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 등 산불로 인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기부금을 사용할 계획이다.
적십자사는 산불 발생 직후인 지난 21일부터 경북과 경남 산불피해 지역에 구호 인력을 투입해 현장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총 2000여명의 직원과 봉사원이 활동 중이다.
이날까지 긴급구호세트 1270개, 담요 4865장, 쉘터 477동, 생수 및 기타 구호물품 5만9375개 등 총 8만7887개의 물자가 피해 현장에 전달됐다.
또 진화요원 및 이재민 5만8210명에게 식사가 제공됐고, 2441명에게는 재난 심리 상담도 진행했다. 이동진료소를 설치해 현장 진료를 시작했으며, 급식차량, 회복지원차량, 샤워차량, 구호지원차량 등 총 13대의 구호 장비도 가동 중이다.
권용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