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과 함께하는 도쿄 스프링 페스티벌…바그너를 불러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쿄스프링페스티벌, 우에노 문화회관서 개막
15년 만의 전막 ‘파르지팔’ 성황
가수·악단 감정선 완벽히 표현
아이들 위한 바그너 공연도 진행
벚꽃과 함께 음악의 봄 절정으로
15년 만의 전막 ‘파르지팔’ 성황
가수·악단 감정선 완벽히 표현
아이들 위한 바그너 공연도 진행
벚꽃과 함께 음악의 봄 절정으로

이제 축제가 시작되면 이곳 우에노역 주변은 온통 클래식 음악과 함께 한다. 우에노 지하철역에는 벚꽃 장식을 한 피아노가 등장해 누군가가 연주해주기를 기다리며, 페스티벌을 알리는 귀여운 버스들도 돌아다닌다. 벚꽃 나무 아래엔 거리로 나온 예술가들이 악기를 연주한다. 꽃구경을 나온 시민들도 자연스럽게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도쿄문화회관 안쪽도 공연 준비로 분주하다. 올해 가장 주목받는 공연은 2010년부터 진행해온 바그너 시리즈다. 매년 바그너의 작품을 한편씩 무대에 올리는 시리즈다. 지난해는 ‘트리스탄과 이졸데’가 연주되었고, 올해의 주인공은 ‘파르지팔’이었다. ‘파르지팔’은 2021년에 공연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취소되면서 2025년으로 미뤄지게 되었다. 축제에서 마지막으로 연주된게 2010년이니 15년 만에 다시 찾아온 작품이다. 올해도 지휘는 마렉 야노프스키가 맡았고, 연주는 NHK교향악단이었다. 바그너 시리즈를 오랜 시간 책임져 온 지휘자와 오케스트라기도 하다.
마침내 파르지팔의 주요 동기들이 연주되며 서막을 열었다. 매년 바그너 음악을 해온만큼 NHK교향악단의 바그너 기초체력은 아주 뛰어났고, 이들은 마렉 야노프스키와 함께 일류 오케스트라가 되었다. 음악을 연결하는 순간들이 아주 매끄럽고, 그 순간 마다의 표현도 뛰어났다. 바그너의 수많은 주제들이 한꺼번에 섞여도 소리가 명확했고, 층층이 소리 레이어를 쌓아 올려 관객들을 압도시켰다. 매 순간 앙상블을 놓치는 법이 없었다.

‘파르지팔’에 출연한 가수들의 활약도 놀라웠다. 구르네만츠를 맡았던 타레크 나즈미는 그중에서도 일등공신이었다. 모든 파트를 안정적으로 소화하며, 구르네만츠의 다양한 성격을 부각시켰다. 최근까지도 뮌헨에서 구르네만츠를 맡아왔기 때문에 지금 이순간 그가 가장 잘하는 역할이었다. 가장 기대를 모았던 바리톤 크리스티안 게르하허도 굉장히 설득력 높은 암포르타스를 연기했다. 노래도 노래지만, 연기도 뛰어났는데, 무대에서 걸어 나가는 장면마저 섬세한 연기를 하며 관객들의 몰입을 높였다. 마찬가지로 가장 최근까지도 암포르타스 역할을 맡았기에 지금 이순간 가장 잘하는 역할이다. 이미 지난해 독일 뮌헨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같은 역할로 뛰어난 노래와 연기를 선보였다.

마법 같은 연주력에 일본의 관객들은 오케스트라와 지휘자에게 진심 어린 환호와 박수를 보냈다. 객석의 불이 완전히 켜지며 공연 종료 사인을 알렸지만, 관객들은 박수를 이어가며 지휘자를 집에 보내주지 않았다. 마렉 야노프스키는 환호에 못 이겨 다시 한번 무대에 나올 수밖에 없었다. 그는 이 멋진 연주는 NHK교향악단의 단원들 덕분이라며, 연신 단원들에게 공을 돌리는 제스처를 취했다.
어린이를 위한 또다른 바그너
축제 중간중간마다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는 바그너 시리즈를 진행하는 것도 도쿄 스프링 페스티벌의 매력이다. 올해는 앞서 연주된 ‘파르지팔’의 어린이 버전을 준비했다. 70분으로 축약된 어린이 버전은 바이로이트 페스티벌과 함께하는 완성도 높은 공연이다. 아이들이 무대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들도 마련되었다.


도쿄=허명현 음악칼럼니스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