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국물' 찾아 프랑스부터 한국까지 누빈 고독한 미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
전세계로 확장한 미식 여행
드라마가 쌓은 명성 승계
일부 황당 설정은 '옥에 티'
전세계로 확장한 미식 여행
드라마가 쌓은 명성 승계
일부 황당 설정은 '옥에 티'

일본 인기 드라마 시리즈 ‘고독한 미식가’는 주인공 고로가 먹고 일하는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그의 하루를 재현한다. 반면 최근 개봉한 영화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사진)는 고로가 외국으로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를 담는다.
이야기는 고로가 옛 연인의 아버지가 의뢰한 그림을 가져다주러 프랑스 파리로 떠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림을 보고 고향이 그리워진 옛 연인의 아버지는 고로에게 어린 시절 먹었던 국물 요리를 찾아 달라는 황당한 의뢰를 맡긴다. 고로는 ‘잇짱지루’라고 불리는 국물 요리를 찾기 위해 떠난다.
드라마가 도쿄의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실제 존재하는 식당과 유명 메뉴를 소개하는 패턴이었다면, 이번 영화 버전은 파리에서 나가사키의 한 섬으로, 그리고 또 다른 섬에서 한국의 거제도에 이르기까지 범세계적인 루트를 탐험하며 식당을 찾는 것으로 여정을 확장한다.
이런 시도는 때로는 즐겁고 때로는 무모하다. 예를 들어 두 가지 기내식(비프스튜와 야키토리동) 중 하나를 선택할 때도 심혈을 기울이는 고로의 모습이라든지, 기내식을 놓친 그가 아사 상태에서 파리에 도착해 정통 프렌치 식당을 찾는 과정은 드라마에서 재현할 수 없던 스케일과 소재를 보여주는 유쾌한 상황극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식재료를 찾기 위해 섬을 찾다가 표류한다는 설정, 그리고 표류한 섬이 여성들만 사는 식품연구소라는 설정 등은 몰입을 방해할 정도로 설득력이 떨어진다.
주제와 작품성보다는 음식과 식당 그리고 공간의 추억으로 사랑받은 드라마를 영화화한 프로젝트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이 영화를 보는 기준은 일반 영화를 평가하는 것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야기적 개연성보다는 고로가 음식을 만나는 순간, 그리고 그가 음식을 마주하는 태도와 느낌을 중추로 하는 이번 영화 버전이 드라마가 쌓아 올린 명성과 관객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다.
결과적으로는 영화 버전 역시 만족스럽다. 고로를 연기하는 마쓰시게 유타카의 다양한 표정을 볼 수 있다는 것도 큰 강점이다.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간 후 한국 팬을 위한 쿠키영상까지 보고 나면 진정으로 ‘하라가 헷타’를 외치고 싶을 정도로 배가 고파진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