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관세협상 결렬시 美 빅테크 세금 부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글·메타 디지털 광고 겨냥
"서비스 분야까지 보복 확대"
"서비스 분야까지 보복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방위적 상호관세 공세에 유럽연합(EU)이 구글, 메타 등 미국 빅테크를 겨냥한 관세를 언급하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10일(현지시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EU는 미국과 완전히 균형 잡힌 합의를 추구할 것”이라며 “협상에 실패하면 서비스 분야로까지 보복 범위를 확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광범위한 대응 조치가 있다”며 그 예로 구글, 메타 등 디지털 서비스의 광고 매출에 대한 과세를 거론했다. EU의 통상위협대응조치(ACI)를 발동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EU는 다른 국가가 EU 및 회원국에 경제적 위협을 가하면 해당국이나 해당국 기업의 상품, 서비스, 외국인직접투자, 공공 조달 참여, 금융 서비스를 제한하는 즉각적인 보복 조치 등 광범위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그는 미국이 통상 장벽이라며 문제 삼고 있는 EU의 부가가치세(VAT)에 대해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EU의 테크 분야 경쟁 규제법인 디지털시장법(DMA)과 온라인 콘텐츠 규제법인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대해 “건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쟁이 세계 무역 질서의 중대한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명백한 전환점이며, 더 이상 과거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주식 및 채권시장 혼란을 언급하며 “불확실성의 비용을 무겁게 치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EU 집행위는 오는 15일 시행할 예정인 미국의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관세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했다.
한경제 기자 [email protected]
10일(현지시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EU는 미국과 완전히 균형 잡힌 합의를 추구할 것”이라며 “협상에 실패하면 서비스 분야로까지 보복 범위를 확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광범위한 대응 조치가 있다”며 그 예로 구글, 메타 등 디지털 서비스의 광고 매출에 대한 과세를 거론했다. EU의 통상위협대응조치(ACI)를 발동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EU는 다른 국가가 EU 및 회원국에 경제적 위협을 가하면 해당국이나 해당국 기업의 상품, 서비스, 외국인직접투자, 공공 조달 참여, 금융 서비스를 제한하는 즉각적인 보복 조치 등 광범위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그는 미국이 통상 장벽이라며 문제 삼고 있는 EU의 부가가치세(VAT)에 대해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EU의 테크 분야 경쟁 규제법인 디지털시장법(DMA)과 온라인 콘텐츠 규제법인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대해 “건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쟁이 세계 무역 질서의 중대한 전환점이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명백한 전환점이며, 더 이상 과거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주식 및 채권시장 혼란을 언급하며 “불확실성의 비용을 무겁게 치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EU 집행위는 오는 15일 시행할 예정인 미국의 철강 관세에 대한 보복관세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했다.
한경제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