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찾아간 외교장관 "미국 관세 대응 협력하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베트남 국가 주석과 총리와 만나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 등 대미 수출 대응전략 협력
시진핑 중국 주석도 베트남 방문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 등 대미 수출 대응전략 협력
시진핑 중국 주석도 베트남 방문

16일 외교부에 따르면 제4차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 참석차 베트남을 방문한 조 장관은 이날 하노이에서 베트남 권력 서열 2위인 르엉 끄엉 (Luong Cuong) 베트남 국가주석과 팜 밍 찡 (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를 각각 예방했다. 조 장관은 찡 총리와 끄엉 주석에게 "최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 관련 한국과 베트남 양국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베트남 대미 협의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의 이해가 반영되도록 노력해 준 데 대해 사의를 표한 후 향후 본격적인 협상 과정에서도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앞서 조 장관은 부이 타잉 썬(Bui Thanh Son) 베트남 부총리 겸 외교장관과도 만나 미국의 관세 문제를 비롯해 양국 관계 발전 방안 및 북한 문제 등 지역·국제 정세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이 베트남에 46%에 이르는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절반가량이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등 한국 기업에도 큰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LG전자 역시 베트남 하이퐁 공장에서 북미 수출용 생활가전 일부를 생산한다. 양국 장관은 최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와 관련해 양국의 경제가 밀접하게 연계된 만큼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조 장관은 한국인이 베트남에 안전하게 여행하고 체류할 수 있도록 지원을 당부했고, 썬 장관은 양 국민 간 인적교류를 더 활성화하기 위해 관광, 교육 및 문화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기대한다고 했다. 조 장관은 이날 베트남 내 한국 동포·기업인과 간담회도 개최해 의견을 수렴하기도 했다. 조 장관은 베트남에 있는 약 1만개의 한국 기업이 원활히 활동할 수 있도록 노동, 체류 허가 및 인허가 문제 등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당국의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14일 베트남을 국빈 방문해 권력 서열 1위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을 갖고 미국의 일방적인 억압에 공동 대응하자고 주문하는 등 외교전을 펼쳤다. 시 주석은 지난 15일에는 럼 서기장과 함께 호찌민 묘소를 참배하고 중·베트남 철도 협력 메커니즘 출범식에 참석했다. 시 주석은 하노이 국제회의센터에서 양국 교류단체 대표들과도 만남을 가졌다.
이현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