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 열리는 미국과 일본의 고위급 관세협상에 직접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일미군 주둔과 맞물린 것으로 보이는 ‘군사 지원 비용’ 문제도 이번 협상 의제 중 하나로 적시했다. 일본은 한국과 대미 흑자액이 비슷하고 미군이 주둔하는 등 공통점이 많아 협상 결과가 한국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트럼프 "日 관세·방위비 협상 직접 참석"…'韓 참고서' 되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일본은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에) 온다”며 “재무부, 상무부 장관과 함께 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과 미국에 좋은 (아주 좋은!) 뭔가가 나오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일본의 관세 담당 장관들은 이날 미국에서 만나 본격적으로 협상을 시작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일본 측에서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참석할 예정이다. 일본의 미국 알래스카 석유·천연가스 사업 참여, 환율 문제 등 민감한 의제도 다뤄질 수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회의 참석 가능성은 앞서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협상 참여 의사가 주목받는 이유다. 다음주 한국과의 협상에도 직접 나설지 관심이다.

일본은 그간 무역과 방위를 분리해 대응해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 지원 비용을 의제로 언급함에 따라 관세와 방위비 등을 묶는 ‘패키지 딜’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출국 전 기자들에게 “일본이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양국이 관세 없이도 윈윈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설득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초 상호관세 발표 당시 일본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24%로 설정했다. 미국 컨설팅회사 아시아그룹의 커트 통 대표는 “미국은 일본을 채찍으로 때리지 않겠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일본은 그 대가로 ‘당근’을 잔뜩 내놓을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며 “일본으로서는 사실상 (관세를 무기로 한) 경제적 압박으로 느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경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