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을 통해 현재 25%인 상호관세를 10%로 낮추더라도 미국과 중국이 100%가 넘는 보복관세를 주고받는 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애초 예상보다 0.5%포인트 떨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23일 글로벌 투자은행(IB)인 씨티그룹은 ‘한·미 통상 협상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중국이 올 2분기부터 서로 100%가 넘는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한·미 통상 협상 결과와 관계없이 올해 한국의 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성장률은 최대 2.3%포인트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도 포함됐다. 앞서 씨티는 올해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각각 0.8%, 1.6%로 전망했다.

씨티는 △한국의 상호관세는 10%, 미국과 중국은 100% 넘는 상호관세 유지 △한국 상호관세는 20%, 미·중 상호관세는 100% 이상 △한국 상호관세는 10%, 미·중이 보복관세를 주고받지 않고, 미국이 중국 상호관세를 60%로 부과하는 경우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 국내총생산(GDP) 감소폭을 분석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한국의 상호관세율과 상관없이 올해 한국 GDP가 당초 예상보다 0.5%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통상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미국과 중국이 관세전쟁을 피하는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 하락폭이 0.2%포인트로 줄었다.

내년에는 미·중 관세전쟁의 충격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2026년 한국 성장률이 각각 2.2%포인트, 2.3%포인트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세 번째 시나리오에서도 내년 성장률이 예상치보다 0.9%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봤다.

씨티는 또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가 25%에서 10%로 줄어들더라도 실효관세는 20.7%에서 14.0%로 6.7%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자동차 부품이 25% 품목관세를 적용받고 있기 때문이다.

정영효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