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 현장을 찾아 안전시설과 경보체계를 점검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 현장을 찾아 안전시설과 경보체계를 점검했다. /연합뉴스
최근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잇따르며 국민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전국의 대형 굴착공사장 98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시행한다. 서울시도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신기술을 도입하는 등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3일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 등과 ‘지하안전관리체계 개선 전담조직’ 회의를 열고 지하안전관리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다음달 말까지 전국의 대형 굴착공사장 98곳을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한다. 또 서울 강동구와 경기 광명에서 발생한 지반 침하 사고의 원인 조사를 오는 6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이날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건설공사장을 방문해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하의 빈 공간을 탐지할 수 있는 장비인 GPR(지표투과레이더)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지하 약 20m의 깊은 공간까지 지층변동을 계측할 수 있는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도 선보인다. 다음달 서울지하철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우선 설치할 예정이다.

시민 불안을 덜기 위해 지하안전 관련 정보도 적극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서울 내 철도공사장 5곳(49.3㎞)과 자치구 선정 50곳(45㎞) 등 GPR 특별점검 결과를 우선 공개한다. 지반 침하 관련 시민신고 내용과 조치 결과도 주기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30년 이상 지난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사업도 속도를 낸다. 그동안 연평균 2000억원가량 투입한 예산을 4000억원으로 두 배로 늘릴 예정이다.

이인혁/유오상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