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4일 자신의 SNS에 기후·에너지 정책 공약을 발표했다. “재생에너지 비율을 신속하게 늘려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게 골자다. 원자력 발전과 소형모듈원자료(SMR)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이 후보는 “석탄 비중을 최소화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비중도 줄여가되, 재생에너지 비율을 신속히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전력 거래량을 발전원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원자력이 32.5%로 가장 높았다. LNG(29.8%), 석탄(29.4%), 신재생에너지(6.9%)가 뒤를 이었다. 이 후보는 석탄발전은 2040년까지 폐쇄하겠다는 방침인데, 나머지 전력원을 언제까지 얼마나 조정할지에 대해선 공개하지 않았다.

그는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를 건설하겠다”며 “20GW 규모의 남서해안 해상풍력을 해상 전력망을 통해 주요 산업지대로 송전하고, 전국에 RE100 산단을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이 후보 캠프 측은 차기 대통령 임기 내 이런 산단을 구축하겠단 방침이다. 이재명 캠프의 종합상황실장을 맡고 있는 한병도 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난관도 있겠지만, 호남이 살려면 친환경 에너지를 구축하는 게 필수라는 생각으로 올인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후보는 또 “2040년 완공 목표로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을 시작해 한반도 전역에 해상망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지난해 전 세계 에너지 부문 투자액은 4360조원으로 반도체, 자동차를 합한 것보다 크다”며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 산업을 대한민국 경제를 책임질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히트펌프, 그린수소 등 탄소중립 산업을 지원하고 전기차, 이차전지 등 연계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2021년 대선 때 공약을 내걸었던 ‘햇빛·바람 연금’을 꺼냈다. 해상풍력, 태양광 발전으로 벌어들이는 이익을 지역 주민에게 공유하는 제도다. 이 후보는 “이 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해 주민 소득을 늘리고, (인구 소멸 위기 지자체를) 사람이 돌아오는 지역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다만,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가격이 지금도 비싼 상황에서 발전 사업자에 이익공유를 강제하면, 사업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후보는 이날 에너지 관련 정책에서 원전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재명 캠프의 정책본부장을 맡고 있는 윤후덕 민주당 의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이재명 후보 캠프에서 원전을 강조하진 않는다”며 “원전에 대해선 명확한 사회적 합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체 에너지를 빨리 주문하고 확보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전날에도 기자들에게 “원자력발전소의 비중을 유지하되 사회적 합의로 조금씩 줄여가는 것이 큰 방향”이라고 했다.

김형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