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반짝 늘어난 서울 아파트 거래 다시 얼어붙나…지난달 3000건대
지난 3월 24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재지정된 후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얼어붙고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대통령 선거를 앞둔 불확실성으로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크게 줄어들고 있다.

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는 총 3191건으로 지난 3월(9675건)에 비해 67.0%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647건)보다는 31.3% 줄었다.

올해 2∼3월 거래 급증 속에 신고가가 속출했던 강남3구(서초·강남·송파)는 3월에서 4월로 넘어오며 송파(865건→63건), 강남(802건→37건), 서초(410건→11건) 모두 거래가 크게 줄었다.

4월 마지막 거래일 기준으로 실거래 신고가 마무리되려면 아직 한 달가량이 남았다. 시장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확대·재지정 여파로 지난달 거래량이 3000건대로 내려앉거나 많아도 5000건 대를 벗어나지 못하리란 전망이 많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3000건대에 머물렀다. 고금리 기조와 주택담보대출 강화에 지난해 7월(9천225건)을 정점으로 급하게 꺾였다.그러다 올해 2∼3월 강남권의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잠깐 해제'되면서 2월 6천462건, 3월 9천675건으로 전월 대비 각각 88.1%, 47.7% 늘었다.

거래량은 3월 기준으로는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8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1분기(1만9376건) 기준으로는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다.

그러나 4월 들어 거래 냉각으로 매매뿐 아니라 전월세 거래도 떨어지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지난달 9천11건으로 전월 대비 32.8% 감소했다.월세 거래는 총 6천324건으로 23.1% 줄었다.전세와 월세 거래는 2개월 연속 하락했다.

평균 거래 금액을 보면 지난달 매매는 10억7674억원으로 전월 대비 21.7% 하락했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5억4882만원으로 1.6%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대선이 끝나더라도 주택 담보 대출 규제나 금리 상황에 따라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손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