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지역 민심=전통시장'이라는 정치 공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역 유세 수십년째 시장만 찾아
정치가 지역 살리지 못했단 방증
원종환 정치부 기자
정치가 지역 살리지 못했단 방증
원종환 정치부 기자
![[취재수첩] '지역 민심=전통시장'이라는 정치 공식](http://img.www5s.shop/photo/202505/07.32779247.1.jpg)
이런 민생 행보에서 빠지지 않는 곳이 전통시장이다. 이 후보는 24곳 가운데 20곳에서 전통시장을 방문했다. 6일 청년 농업인과 간담회를 하기 위해 충북 보은을 찾을 땐 당초 예정에 없던 지역 장터를 찾기도 했다. 김 후보도 경북 영덕에서 산불 피해 현장을 살핀 일정과 대구 방문을 제외하면 빠짐없이 전통시장에서 시민을 만났다.
이번 대선뿐 아니라 전통시장은 선거에서 후보들이 경쟁하듯 달려가는 ‘단골 코스’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전통시장은 후보의 서민적인 이미지를 부각하면서 지역의 많은 시민이 모이기 쉬운 장소”라며 “평소보다 일정이 빠듯한 조기 대선에서 전통시장은 더 많은 사람을 만나기 위한 매력적인 선택지”라고 설명했다.
민심을 챙기겠다는 후보들의 의도에는 공감한다. 그러나 유권자 입장에선 비슷한 장면이 되풀이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후보가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전통시장에 들른 뒤 지역사랑상품권이나 현금으로 먹거리를 사는 게 한 예다.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인에게 문제 해결을 약속하는 후보들의 모습도 마찬가지다.
뻔하다는 비판에도 정치권 나름의 속사정은 있다. 한 민주당 재선 의원은 “지역에선 후보나 의원이 시장에 들러 손을 맞잡는 식의 밀접한 소통이 표심에 큰 영향을 준다”며 “전통시장을 찾지 않으면 ‘서울에 살더니 사람이 변했다’는 핀잔을 들으니 방문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대안이 없는 건 아니다. 이 후보가 4일 경북 영주의 대표 축제인 선비문화축제에 들러 유권자들과 소통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지역 유세가 천편일률적이라는 건 지역을 제대로 살리지 못해서라는 비판도 나온다. 광주 출신 20대 김모씨는 “몇십 년째 시장을 제외한 유세 현장이 변변치 않다는 건 정치권이 지역 개발에 무관심했다는 증거”라며 “정치권과 지역의 이해타산이 맞물려 있는 광주는 많은 사람이 활용하는 제대로 된 복합쇼핑몰마저 없다”고 토로했다.
지난 미국 대선을 보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공원과 대학, 경기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유권자를 만났다. 한국은 언제까지 지역 민심을 전통시장에서 찾으려고 할까. 개헌 등의 거대 담론에 앞서 작은 것부터 바꿔나가는 게 유권자의 마음에 더 와닿을 것 같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