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할래요" 돌변…출생아 수는 줄었는데, 대체 무슨 일? [1분뉴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기 울음소리 줄었지만…"결혼 생각 있다" 3년 새 11%P '쑥'
보건사회연구원,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49세 성인(미혼 포함)과 그 배우자 1만4372명을 상대로 조사한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평균 출생아 수는 0.85명으로, 3년 전(1.03명)보다 0.18명 감소했다.
조사에서 사실혼을 포함해 결혼 경험이 있는 19∼49세 여성이 결혼 당시 계획한 평균 자녀 수는 1.75명이었다. 2021년 조사 당시 1.93명보다 감소한 수치다.

다만 19∼49세 남녀를 배우자 여부 기준으로 나눠 물은 결과, 배우자가 있는 이들은 18.0%만 출산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계획한 자녀 수의 평균은 1.25명이었다.
반면 배우자가 없는 이들은 출산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이 63.2%에 달했다. 계획한 자녀 수는 1.54명으로 배우자가 있는 이들보다 많았다.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은 62.2%였다. 이는 직전인 2021년 조사 당시(50.8%)보다 11.4%포인트 올랐다.
결혼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은 2021년 23.9%에서 지난해 19.4%로 4.5%포인트 하락했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결혼 생각이 없다는 비율도 같은 기간 11.9%에서 6.7%로 하락했다.
결혼 생각이 없다는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현재 삶에 만족하기 때문'(58.4%)이라는 답을 가장 많이 고른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돈이 없어서'(11.4%), '적합한 배우자를 만나지 못해서'(10.2%)라는 응답이 집계됐다.
성별 기준으로 남성은 돈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7.0%로, 여성보다 10.9%포인트 높았다. 여성은 현재 삶에 만족해서 결혼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63.4%로, 남성보다 9.5%포인트 높았다.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이미 결혼한 사람들보다 결혼할 당시 중요한 가치로 '경제적 안정'을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서 기혼자들이 결혼할 당시 중요하게 생각한 가치는 사랑(81.9%), 동반자 관계(81.8%), 경제적 안정(53.2%), 가족·사회의 기대 충족(45.1%) 순이었다.

다행히 월간 출생아 수는 반등 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월 태어난 아기는 2만 명을 넘어서 동월 기준으로 1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2월 출생아는 2만35명으로 전년 동월(1만9413명)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월 합계출산율은 0.82명으로 전년 동월(0.77명) 대비 0.05명 상승했다. 2월 기준 출생아 수는 2014년 이후 계속 내리막길을 걷다가 올 2월 11년 만에 반등했다. 2014년 2월 3만6754명이던 출생아는 2018년 2만7575명으로 집계되며 ‘3만 명’ 선이 무너졌고, 지난해에는 2만 명 밑으로 내려앉았는데 올해 다시 2만 명 선을 회복한 것이다.
출산의 선행지표 격인 혼인 건수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 2월 혼인 건수는 1만9370건으로 전년 동월(1만6948건) 대비 14.3% 증가했다. 2월 기준으로는 2017년(2만1501건) 후 8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