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브스 "미·중 무역협정,기술 강세장 환경 조성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노출 많은 엔비디아,테슬라 등 기술주 개장전 급등
"약값 인하 인플레 안정에 도움,7월 금리인하도 기대"
"약값 인하 인플레 안정에 도움,7월 금리인하도 기대"

12일(현지시간) CNBC 프로에 따르면, 댄 아이브스는 CNBC ‘월드와이드 익스체인지’에서 대부분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실질 관세율이 30%로 내려가면 이것은 기술 투자자에게 꿈의 시나리오 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단기 및 중기적으로 관세 유예로 가장 큰 수혜를 볼 종목으로 엔비디아를 꼽았다.
그는 수출통제 대상인 엔비디아의 AI칩을 언급하며 “특히 H20칩이 어떻게 될 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트럼프 정부가 지난 달 새로 발표한 중국용 전용칩 수출 규제로 올해 55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아이브스 분석가는 또 연방 재정적자와 지출 축소와 관련해 팔란티어가 수혜자가 될 가능성이 높고 소프트웨어에 대한 투자가 늘면, 오라클과 마이크로소프트도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 날 뉴욕증시 개장전 거래에서 엔비디아와 애플, 테슬라, 아마존 등 중국 노출이 많은 대부분의 기술 주식들이 5% 가까이 급등했다.
KKM 파이낸셜의 제프 킬버그는 최근 올들어 5% 상승하면서 약세장에서 주목받은 유틸리티 주식 등 일부 “방어적 거래를 정리할 때가 됐다”고 언급했다. 그는 “오늘 월가의 공포지수인 VIX가 20 아래로 떨어졌다”고 강조했다. 4월에 VIX는 60을 넘었다.
가르시아 해밀턴 앤 어소시에이츠의 길버트 가르시아는 “미·중 무역 협정 이후 채권에서 큰 기회가 보인다”고 말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약화되면서 연방준비제도가 7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지적이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이 날 미중 관세 유예 발표가 나오면서, 7월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지난 주 69%에서 이 날 하루만에 42%까지 떨어졌다.
가르시아는 시장이 연준의 금리 인하를 상정하는 만큼, 우리는 반대로 투자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이 처방약에 대한 행정명령을 내림으로써 미국 정부가 지불하는 가격이 30~80%까지 낮아지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 연준이 시장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