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에 생기 부여"…2025 민관상생 투자 사업 선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민관상생 투자협약 사업 5곳 선정
인구감소지역 특화 발전 도모
인구감소지역 특화 발전 도모
부산 서구와 충남 논산, 전북 임실 등에서 대학·기업·공익재단 등과 함께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지역상생사업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해 2025년도 민관상생 투자협약 공모 사업을 총 5개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민관상생 투자협약 사업은 민간이 주도적으로 지역 상생사업을 기획·운영하고, 공공은 기반 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는 협력형 사업이다. 정부 중심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에서 탈피해 민간의 창의성·전문성을 활용하고자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올해는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인 85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월 공모 접수를 시행했다. 총 21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사업을 신청했다. 1차로 광역자치단체에서 평가를 실시해 8건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국토부는 현장 확인과 최종 평가를 거쳐 부산 서구, 충남 논산, 전북 임실, 전남 완도, 경북 영덕을 최종 선정했다.
지역의 산업자원과 창업생태계 구축을 접목하고, 문화자원과 휴양·힐링을 연계해 지역 활력을 높일 수 있는 개성 있는 사업들이 선정됐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부산 서구는 대학병원 세 곳이 있는 지역 특성을 활용한다. 부산대병원 의생명연구원 등과 협력해 의료·헬스케어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의료분야 창업기업에 입주 공간을 제공하고 창업 전반에 걸친 특화 프로그램을 지원해 의료분야 연구개발(R&D)과 의료산업분야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충남 논산시는 김인중 화백의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상시 전시하고, 카페와 함께 식음료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빛섬, 이비가 그룹, 건양대학교 등과 함께 진행한다. 일제강점기 수탈 흔적인 강경읍 미곡창고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구성해 지역의 문화·예술 거점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전북 임실군에서는 치즈테마파크와 연계해 체험형 놀이공간인 플레이빌과 트리하우스·글램핑장 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힐 등을 조성한다. 테마파크 전문기업인 드림랜드·드림레저 등이 사업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전남 완도군은 완도에서 오랜 기간 병원을 운영하고, 문화예술 분야 사업 등으로 국민복지향상 등에 기여하고 있는 대우재단(아트선재센터)과 협력한다. 아트선재센터의 김선정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완도 섬 미술관’을 건립한다. 예술가옥(레지던시)과 예술제 등 각종 프로그램을 완도의 비전사업인 마음치유사업과 연계해 확장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경북 영덕군은 관광산업에 특화된 파나크 주식회사·소노인터내셔널과 삼사해상공원 내 호텔, 리조트 등 지역 관광시설과 연계한 공유 콘퍼런스 센터를 구축한다. 지역의 관광자원에 콘퍼런스와 컨벤션 기능을 부가하고, 기업·지역인재를 위한 원격 휴가근무(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활성화할 예정이다.
선정된 사업에는 기반 시설 등 조성에 국비 최대 50억원을 지원한다.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관련 정부 지원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방침이다.
올 10월까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토부와 지자체 간 협약을 체결하고, 민-관 협력 지역상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4년간 예산을 투입해 2028년까지 시설을 조성한다.
김지연 국토부 김지연 국토정책관은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다양성을 갖춘 민간과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라며 “창의력과 전문성을 가진 대학·기업·공익재단 등이 지역상생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명현 기자 [email protected]
국토교통부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해 2025년도 민관상생 투자협약 공모 사업을 총 5개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민관상생 투자협약 사업은 민간이 주도적으로 지역 상생사업을 기획·운영하고, 공공은 기반 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는 협력형 사업이다. 정부 중심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에서 탈피해 민간의 창의성·전문성을 활용하고자 지난해 처음 도입됐다.
올해는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인 85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월 공모 접수를 시행했다. 총 21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사업을 신청했다. 1차로 광역자치단체에서 평가를 실시해 8건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국토부는 현장 확인과 최종 평가를 거쳐 부산 서구, 충남 논산, 전북 임실, 전남 완도, 경북 영덕을 최종 선정했다.
지역의 산업자원과 창업생태계 구축을 접목하고, 문화자원과 휴양·힐링을 연계해 지역 활력을 높일 수 있는 개성 있는 사업들이 선정됐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부산 서구는 대학병원 세 곳이 있는 지역 특성을 활용한다. 부산대병원 의생명연구원 등과 협력해 의료·헬스케어 산업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의료분야 창업기업에 입주 공간을 제공하고 창업 전반에 걸친 특화 프로그램을 지원해 의료분야 연구개발(R&D)과 의료산업분야 스타트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충남 논산시는 김인중 화백의 스테인드글라스 작품을 상시 전시하고, 카페와 함께 식음료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빛섬, 이비가 그룹, 건양대학교 등과 함께 진행한다. 일제강점기 수탈 흔적인 강경읍 미곡창고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재구성해 지역의 문화·예술 거점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구상이다.
전북 임실군에서는 치즈테마파크와 연계해 체험형 놀이공간인 플레이빌과 트리하우스·글램핑장 등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힐 등을 조성한다. 테마파크 전문기업인 드림랜드·드림레저 등이 사업을 같이 진행할 예정이다.
전남 완도군은 완도에서 오랜 기간 병원을 운영하고, 문화예술 분야 사업 등으로 국민복지향상 등에 기여하고 있는 대우재단(아트선재센터)과 협력한다. 아트선재센터의 김선정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완도 섬 미술관’을 건립한다. 예술가옥(레지던시)과 예술제 등 각종 프로그램을 완도의 비전사업인 마음치유사업과 연계해 확장 운영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경북 영덕군은 관광산업에 특화된 파나크 주식회사·소노인터내셔널과 삼사해상공원 내 호텔, 리조트 등 지역 관광시설과 연계한 공유 콘퍼런스 센터를 구축한다. 지역의 관광자원에 콘퍼런스와 컨벤션 기능을 부가하고, 기업·지역인재를 위한 원격 휴가근무(워케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활성화할 예정이다.
선정된 사업에는 기반 시설 등 조성에 국비 최대 50억원을 지원한다.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관련 정부 지원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방침이다.
올 10월까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토부와 지자체 간 협약을 체결하고, 민-관 협력 지역상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4년간 예산을 투입해 2028년까지 시설을 조성한다.
김지연 국토부 김지연 국토정책관은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연성과 다양성을 갖춘 민간과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라며 “창의력과 전문성을 가진 대학·기업·공익재단 등이 지역상생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명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