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격 나선 조원태, 한진칼 자사주 팔아 의결권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내복지기금에 0.66% 출연
호반건설 지분 매입에 대응나서
투기자금 몰려 우선주 이상급등
호반건설 지분 매입에 대응나서
투기자금 몰려 우선주 이상급등
조원태 그룹 회장 측이 호반건설의 지분 확대에 맞서 경영권 방어에 나섰다.
은 15일 장 마감 직후 자사주 0.66%를 처분한다고 공시했다.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을 위해서라는 설명이지만 경영권 방어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이를 우호 세력에 처분하면 의결권이 되살아난다”며 “0.66%만큼 의결권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9일 기준 최대주주인 조 회장과 특수관계인은 한진칼 지분 30.54%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 중 10.58%는 산업은행이 가지고 있다. 호반건설이 지난 12일 한진칼 지분율을 기존 17.44%에서 18.46%로 늘린 만큼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생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호반건설의 지분 매입 직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자 한진칼 보통주와 우선주는 지난 13~14일 나란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다만 이날 정규장에서 한진칼 보통주는 17% 급락한 12만5000원에 거래를 마친 반면 는 15.8% 급등한 4만4700원에 마감했다.
이날 한진칼에서는 차익실현 물량이 쏟아진 반면 한진칼우에는 투기성 자금이 몰렸다. 한진칼우같이 시가총액이 작은 우선주는 많은 자금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주가를 쉽게 밀어 올릴 수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진칼 시가총액은 8조3453억원에 달하지만 한진칼우 시총은 240억원에 불과하다. 한진칼(6676만2279주)과 한진칼우(55만6766주)의 상장 주식 수 차이도 크다.
한진칼우가 이상 급등세를 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9년 3월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와 경영권 분쟁을 벌였을 때도 의결권이 있는 한진칼 주가 상승률보다 의결권이 없는 한진칼우 상승률이 더 높았다.
류은혁 기자 [email protected]
은 15일 장 마감 직후 자사주 0.66%를 처분한다고 공시했다.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을 위해서라는 설명이지만 경영권 방어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지만 이를 우호 세력에 처분하면 의결권이 되살아난다”며 “0.66%만큼 의결권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9일 기준 최대주주인 조 회장과 특수관계인은 한진칼 지분 30.54%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 중 10.58%는 산업은행이 가지고 있다. 호반건설이 지난 12일 한진칼 지분율을 기존 17.44%에서 18.46%로 늘린 만큼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생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호반건설의 지분 매입 직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자 한진칼 보통주와 우선주는 지난 13~14일 나란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다만 이날 정규장에서 한진칼 보통주는 17% 급락한 12만5000원에 거래를 마친 반면 는 15.8% 급등한 4만4700원에 마감했다.
이날 한진칼에서는 차익실현 물량이 쏟아진 반면 한진칼우에는 투기성 자금이 몰렸다. 한진칼우같이 시가총액이 작은 우선주는 많은 자금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주가를 쉽게 밀어 올릴 수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진칼 시가총액은 8조3453억원에 달하지만 한진칼우 시총은 240억원에 불과하다. 한진칼(6676만2279주)과 한진칼우(55만6766주)의 상장 주식 수 차이도 크다.
한진칼우가 이상 급등세를 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9년 3월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와 경영권 분쟁을 벌였을 때도 의결권이 있는 한진칼 주가 상승률보다 의결권이 없는 한진칼우 상승률이 더 높았다.
류은혁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