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후끈'·대구 '냉골'…엇갈린 지방 집값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다정동 ‘가온마을1단지’ 전용면적 84㎡는 지난 6일 6억8000만원에 손바뀜해 신고가를 기록했다. 어진동 ‘한뜰마을5단지’ 전용 84㎡도 10일 8억9000만원에 최고가를 찍었다.
세종시에선 최근 대통령실 제2집무실 설치 공약이 나오는 등 '대통령실 이전설'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 도담동, 고운동 등 중앙행정권역 인근 집값이 주목받는다.
세종시에 있는 A 공인 중개 관계자는 "행정수도 이전 기대감에 거래가 반짝 몰리기는 했다"면서도 "다만 고점과 비교하면 아직도 더 올라야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청주 집값도 오르고 있다. 청주 흥덕구 복대동 '신영지엘시티 1차' 전용 196㎡는 최근 19억 5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1년 전 거래가인 14억2000만 원과 비교하면 5억3000만원가량 뛰었다.
실수요자들의 꾸준한 문의를 받으면서 집값이 오르고 있다는 게 현지 부동산 공인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이런 흐름은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둘째주(12일) 기준 세종(0.48%)과 충북(0.08%), 전북(0.05%), 울산(0.01%) 등은 상승세를 보였다.
이들 지역에서는 주택 매수 심리도 살아나고 있다. 이번 주 세종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9.9로 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의 매매수급지수도 97.6으로, 2022년 9월 셋째주 98.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광주(-0.10%), 전남(-0.08%), 대구(-0.08%), 경북(-0.07%) 등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미분양주택도 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6.1% 늘었다. 이 중 지방 미분양(5만2392가구)은 76.0%를 차지했다. 3월 말 기준 전남의 미분양 주택은 3903가구로 전월 대비 15.1% 증가했고, 이 기간 대구와 경북도 미분양이 각각 1.4%, 0.7% 늘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