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건희 여사에게 재차 출석을 통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지난 14일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김 여사의 피의자 소환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김 여사는 응하지 않았다.

검찰은 의혹 관련자 조사가 마무리돼 김 여사 대면조사만 남은 상황이다.

김 여사는 지난 13일 수사팀에 조기 대선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등을 이유로 불출석 의견서를 제출하고, 조사 당일인 14일 검찰청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김 여사 측은 △조기 대선 악영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파기환송심 등 그와 관련한 재판들이 대선 이후로 연기된 점 △뇌물 혐의를 받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검찰 대면조사 없이 재판에 넘어간 점 등을 불출석 사유로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는 2022년 대선 당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에게 무상으로 여론조사를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1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경남 창원의창 지역구에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같은 해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도지사·강원도지사 공천에 개입했으며, 김상민 전 검사를 위해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영장에는 김 여사가 비공표·공표 여론조사 합계 3억7520만원 상당을 받았고, 명씨와 공모해 표본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왜곡된 여론조사 결과를 공표했다는 혐의가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여사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에 신고된 예금 계좌를 통하지 않고 명씨에게 현금 500만원을 지급했다는 의혹도 있다.

수사팀은 공천 개입 의혹 사건을 창원지검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한 이후 김 전 검사, 공재광 전 평택시장, 구상찬 전 의원 등 의혹 관련자들을 연이어 불러 조사했다. 또한 또 수사 과정에서 김 여사가 지난해 총선을 앞두고 김 전 의원과 통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사실을 확인했고 명씨에게 "김 여사가 김 전 의원에게 '창원 의창에서 김 전 검사를 지원하면 장관 또는 공기업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제안했다"는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팀은 최근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해 서울남부지검이 지난달 30일 건진법사 의혹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 부부 사저인 아크로비스타와 코바나컨텐츠 등을 강제 수사해 찾은 김 여사 휴대전화와 전 대통령실 행정관 유모씨와 정모씨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수사팀은 공천개입 의혹 관계인들을 잇달아 조사한 데다 김 여사 관련 자료들을 확보한 만큼 대면 조사가 빠른 시일 내 이뤄져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2022년 재·보궐 선거에서 윤 전 대통령이 김 전 의원 공천에 개입한 정황이라며 명씨와의 녹취를 공개했다.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었던 2022년 5월 9일 명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그건 김영선이 좀 해줘라 그랬는데 뭐 그렇게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내가 저기다 얘기했잖아, 상현이한테. 윤상현한테도 하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은 "상현이한테 내가 한 번 더 얘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덧붙였다.

법조계에선 공천 개입 의혹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선 윤 전 대통령 부부 모두 검찰의 대면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상황에서, 다음 달 3일로 예정된 대선에 앞서 두 사람이 소환될지 이목이 쏠린다.

김 여사는 대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지만, 김 여사가 대선에 출마하는 당사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명분이 부족하다는 반응도 나온다.

통상 수사기관은 소환 통보를 3회 불응할 경우 체포영장 등 강제구인에 나서지만, 김 여사 측이 일정 조율에 응해온 만큼 검찰은 당장 체포영장을 청구하진 않을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김 여사 소환 조사가 이뤄지더라도 대선 이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