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최근 5년간 난청 환자가 23%가량 증가했다. 이는 노인 인구가 늘면서 난청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난청 환자는 어지럼증이나 낙상에도 취약해 어르신의 경우 주의가 더욱 필요하다.

최근 질병관리청의 '40세 이상 성인의 난청 유병 현황(2019∼2023)'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40세 이상 성인의 중증도 이상 난청 유병률은 남자 17.8%, 여자 13.6%, 경도 난청은 남자 30.9%, 여자 23.4%로 집계됐다.

대체로 남자가 여자보다 난청 유병률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난청 유병자도 늘어났는데, 70대 이상에서는 남자의 52.9%, 여자의 40.7%가 중증도 이상 난청을 앓고 있었다.

눈에 띄는 대목은 남자와 여자 모두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난청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난청 진료환자는 2019년 65만 명에서 2023년 80만 명으로 5년 사이 23%가량 증가했다.

청력 손실은 삶의 질을 저하할 뿐 아니라 낙상 등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난청이 있는 남성의 32.3%는 어지럼증을, 9.4%는 낙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난청이 없는 사람의 경험률 각각 20.3%, 6.2%보다 높았다.

여성의 난청 유병자의 경우에도 41.0%는 어지럼증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했고, 난청 환자 중 낙상을 경험한 비율도 10.7%로 비유병자(4.3%)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질병청은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난청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소음 노출, 이명 등 난청 위험요인이 있는 취약군에 대해서 어지럼증과 낙상 예방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