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파테예프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 발레마스터
전민철 발탁한 前예술감독
내년 1월 공연 참관 차 방한
"발레리노 전민철은 클래식 발레를 위한 모든 신체 조건을 갖고 있습니다. 지난 6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실제로 만났을 때 이를 더 확신했습니다. 예술감독이었던 제 요구사항을 빠르게 이해해서 지시를 반복할 필요가 없었죠. 진정으로 춤을 위해 태어난 사람 같습니다."
마린스키발레단 발레마스터 유리 파테예프 / 사진. ⓒWally Skalij/Los Angeles Times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의 유리 파테예프 발레마스터(60)는 한국경제신문과 단독 인터뷰하며 내년 솔리스트로 입단할 발레리노 전민철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내년 1월 11~12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발레의 별빛, 글로벌 발레스타 초청 갈라공연(이하 발레의 별빛)>을 보기 위해 방한할 계획이라는 그는, 이 자리에서 전민철을 비롯해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 발레스타들의 다양한 무대를 직관할 예정이다.
지난 여름까지 마린스키발레단의 예술감독이었던 파테예프는 유지연, 강예나, 김기민 등 한국 무용수들과 작업한 경험이 적지 않다. 그래서인지 한국 발레무용수의 스타일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예술가의 강점은 훌륭한 교육을 통한 철저한 테크닉, 높은 수준의 전문성에 있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 무용수들은 전문 교육으로 다져진 학습 태도로 새로운 정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주어진 과제를 망설임없이 수행한다.
지난 5월, 마린스키발레단 발레리노 김기민이 <돈키호테>에서 2인무를 하고 있다. / 사진. ⓒDamir Yusupov파테예프는 김기민을 동시대 현역 무용수 가운데 세계적 기준에 부합하는, 가장 독보적인 존재로 꼽았다. “예술가마다 고유 개성이 있지만, 김기민과의 경험은 더욱 특별했어요. 기술적으로 탁월하고 연기력까지 비범합니다. 놀라운 재능에 친절한 성품까지 갖췄죠. 멋진 카리스마가 매 공연마다 관객에게 아낌없이 전달되는 장면들을 볼 때마다 즐겁습니다.”
그는 한국인이기에 어떤 부분을 특별히 보완해야한다는 지적은 하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마린스키발레단의 예술가로서 갖춰야할 요소에 대해 언급했다. 파테예프는 “발레 무용수들은 자신을 향한 충고를 받아들이고, 발전하며 성장해야한다”며 “예술적인 표현력과 자신의 개성을 갖추는 일은 마린스키발레단원에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