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무차별 정보수집 차단"…美 '딥시크 금지법' 나온다
입력
수정
지면A8
美 의회서 법안 발의…日·대만 등 주요국 차단 확산미국 연방 의회가 미국 정부 기관에서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AI) 앱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딥시크가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데다 중국 정부가 언제든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주요국도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딥시크 코드 분석한 보안 전문가
"로그인 정보 이동통신사로 보내
中정부, 이름·문자까지 염탐 가능"
이탈리아는 앱 다운로드 막고
호주·대만 등 정부부처 사용 금지
◇“딥시크, 고객 정보 中 통신사에 보내”
법안에는 미국 정부기관이 딥시크와 딥시크 모기업인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가 개발한 모든 앱을 정부 소유 기기에서 제거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공화·민주당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법안인 만큼 하원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WSJ는 전했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적(중국)이 우리 정부에서 정보를 얻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즉각 취해야 할 조치”라고 말했다.
미국 의회에서 딥시크 금지법 발의를 추진하는 데는 최근 보안 전문업체의 조사 결과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사이버 보안업체 페루트시큐리티의 아이번 차리니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딥시크가 출시한 AI 앱에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중국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에 보낼 수 있는 코드가 숨겨져 있다”고 밝혔다. ABC방송은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 사용한 검색어, 온라인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의회는 2022년에도 보안상 이유로 정부 기기에서 중국 앱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가결했다. 이미 미국에선 국방부와 해군, 항공우주국(NASA), 연방 하원 등이 딥시크 사용을 자체적으로 금지했다.
◇中 기업, 정부에 자료 제공 의무
딥시크는 지난달 20일 오픈AI 등 미국 AI 기업이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 들인 비용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금액으로 비슷한 성능을 지닌 생성형 AI 모델 ‘R1’을 선보여 주목받았다. R1은 출시 후 1주일 동안 하루 사용자가 20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켰다. 하지만 광범위한 정보 수집·검열 의혹이 제기돼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려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각국이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는 것은 중국의 ‘데이터 보안법’ 때문이다.딥시크는 사용자 이름, 이메일, 인터넷주소(IP) 같은 개인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 문자, 오디오, 파일 등 수많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보안법에 따라 중국 정부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기업에 이 같은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고 기업은 이를 따라야 한다.
이런 이유로 이탈리아는 지난달 이미 자국 내에서 딥시크 앱 다운로드를 차단했다. 호주, 일본, 대만 등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영국, 프랑스 등은 딥시크에 개인정보 유출 등을 우려하는 질의서를 보내거나 내부적으로 규제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기업에 위법한 데이터 수집·저장을 요구한 적이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서방국가의 불신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김동현 기자 3code@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