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회색빛 도시를 형광빛 테마파크로...“아이처럼, 놀이기구 타듯, 그냥 빠져들어라”

[리뷰] 안은미의 뉴캐슬 공연

UK 댄스 컨소시엄 초청 영국 순회 공연
뉴캐슬서 75분간 펼쳐진 판타지 월드
축구로 유명한 뉴캐슬은 매우 전형적인 영국 북부의 공업도시다. 도시를 색으로 비유하자면, 회색이나 짙은 청색의 느낌이 물씬 풍겼다. 그런 뉴캐슬에서 오색찬란한 색감이 트레이드마크인 현대무용가 안은미의 <드래곤즈>가 무대에 올랐다. 회색빛 도시 뉴캐슬은 컬러풀한 안은미와 만나 순식간에 형광빛 테마파크로 변신했다. 이 작품은 올해 영국의 주요 극장 연합체인 댄스 컨소시엄(UK Dance Consortium)의 초청을 받아, 한 달간 영국 8개 도시를 순회 중이다. 지난 15일(현지 시각) 뉴캐슬 씨어터 로얄에서 열린 공연은 안은미가 현 기획사와 다양한 작품으로 월드 투어를 시작한 지 딱 200회째 공연으로, 특별함을 더했다.
안은미의 '드래곤즈' 영국 투어 무대 / 사진. ⓒTom Corban
이날 공연 전 백스테이지에서 잠시 만난 안은미는 작품을 머리로 판단하지 말고, 그냥 빠져들면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한번 공연장 문이 닫히면 절대 빠져나갈 수 없다”고 웃으며 경고했다. 무대는 ‘용’을 모티브로 안은미가 창조한 판타지 월드였다. 75분간 펼쳐진 공연은 생기 넘치고 화려하며, 아주 독특했다. 관객들은 마치 그가 설계한 롤러코스터에 탑승한 듯 몰입했다.

무대 막이 오르자, 안은미가 등장했다. 그는 코끼리의 긴 코처럼 보이는 은빛 튜브로 곡선을 그려가며 기이한 소리를 냈다. “오잇? 꺄아. 뀨! 퐈아!” 동물들이 낼 법한 본능적인 외계어가 쏟아지자, 무방비 상태였던 관객들은 큭큭 웃음을 터뜨렸다. 어디가 얼굴인지 엉덩이인지 알 수 없고, 알려고 해도 답을 찾을 수 없는 ‘이상한’ 생명체는 객석의 호기심을 단숨에 이끌었다. 낯선 외계 행성에 도착한 듯한 기이한 도입부는 이 공연이 관객에게 줄 독특한 자극을 예고했다.

안은미는 마법사인지, 무당인지, 어린아이인지, 외계인인지 모를, 좀체 규정할 수 없는 독특한 비주얼로 분했다. 아마도 그가 상상한 세계의 용(드래곤)을 표현한 듯 보이지만, 판단은 불가능했다. 기존 공식을 깨는 색 조합과 비정형 디자인의 의상과 소품을 장착하고, 그만의 몸짓 언어로 무대를 장악했다. 기묘하지만 유쾌한 그의 세계는 괴이한 사운드와 함께 열렸다. 아주 거칠고 본능적이면서도, 한편으론 귀여운 선율처럼 느껴지는 도입부였다.
안은미의 '드래곤즈' 영국 투어 무대 / 사진. ⓒTom Corban
곧이어 무대는 젊은 무용수들로 채워졌다. 그들은 뛰고, 구르고, 회전하며 정교한 운동 감각과 섬세한 몸짓을 선보였다. 때로 살풀이 같기도 하고, 발레와 아크로바틱, 혹은 힙합댄스를 넘나드는 움직임이 뒤섞였다. 무용수들은 각기 다른 캐릭터의 용을 표현했다. 은색 튜브를 휘감고 촉수처럼 흐느적거리는 용, 머리에 전등갓을 쓰고 스케이트 타듯 미끄러지는 용, 소용돌이치듯 감기는 실크 롱스커트를 입고 360도 회전하는 용. 관객들의 눈에는 어떤 장치든 낯설고 파격적인 이미지로 가득했다. 무용수들은 함께 무대를 꾸미면서도 각자 개성을 분명히 표현했다. 획일화된 몸짓이 아니라, 각 무용수의 스타일과 취향이 반영된 개별적이면서도 통합적인 안무였다.
안은미의 '드래곤즈' 영국 투어 무대 / 사진. ⓒTom Corban
이제야 현대무용 공연장에 왔구나 싶어 안도하려던 순간, 무대 위 홀로그램 기술이 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 일본, 한국) 각국의 무용수들을 무대로 불러왔다. 라이브 공연팀 8명과 함께 홀로그램 무용수 5명이 함께 무대를 꾸몄다. 달콤한 판타지 같은 홀로그램의 몽환적 색채와 몸짓이 공연에 독특함을 더했다.

사실 이 작품의 독특한 판타지 장치는 팬데믹 시기에 탄생했다. 2000년 용의 해에 태어난 아시아 무용수들을 모으려는 프로젝트가 팬데믹으로 무산되면서, 고육지책으로 3D 홀로그램 기술을 동원한 것. 이태석 영상감독이 연출한 홀로그램 프로젝션은 반복되는 비트의 중독적인 음악과 결합해 관객들을 이 축제 속 일원이 되게 만들었다. 강렬한 비트에 몸을 흔들지 않고는 배길 수 없는 분위기였다.

이 작품을 위해 준비한 의상만 200여 벌에 달한다.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무용수들이 입은 기이한 롱드레스, 몸을 휘감는 길이의 실크 스커트, 듣도 보도 못한 디자인과 색감의 의상들. 하나같이 반짝이고 화려하며, 전형적이지 않은 조합의 비주얼이 이 엉뚱한 세계에 빠져들게 만드는 중요한 장치였다.
안은미의 '드래곤즈' 영국 투어 무대 / 사진. ⓒTom Corban
안은미표 테마파크는 처음엔 조금 이상하게 느껴져도, 끝나고 나면 한 번쯤 떠오르는 특별한 경험이다. 그리고 ‘춤이란 무엇일까’ 한 번쯤 생각하게 만든다. 그가 고수해 온 빡빡머리, 짝짝이 양말, 거대한 귀고리처럼, 그에게 춤은 세간의 문법을 깨고 새로운 세계를 열어젖히는 도구다. 안은미는 “현생이 힘들 때 다른 세계의 경험으로 위로받는 게 춤의 매력”이라며 “현존하는 시간대가 힘들면 다른 시간대에 놀러 갔다 오는 것. 옆집에 놀러 갔다 와서 이 집의 고통을 다시 견딜 수 있는 것. 공연은 시간대와 공간을 바꿔주는 것이고, 그렇게 또 삶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객석 반응은 뜨거웠다. 우크라이나에서 온 10대 관객 리나(Rina)는 “정말 놀라운 공연이었다. 무용수들이 각자의 캐릭터에 맞게 개인화한 방식, 그들 각자의 퍼포먼스를 만들어낸 점이 정말 좋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50대 영국인 관객 미셸은 “긍정적인 의미에서 독특한 공연이었다. 특히 홀로그램 댄서가 무대 위 댄서들과 맞춰서 춤추는 조합이 마음에 들었고, 매우 강력한 무대 장치였다”고 강조했다.

작품의 타이틀인 ‘드래곤즈’는 영국인들에게 신선한 소재다. 중세 유럽에서 지도 제작자들은 미지의 세계를 용으로 표기하곤 했다. 용은 판타지의 세계, 그리고 특히 유럽인들에게는 신비로운 미지의 땅으로 여겨졌던 아시아의 특별한 상징이다. 신화적인 기대감이 있는 유럽인들에게, 이번 공연에 등장하는 용은 예상 밖의 용이다. 위협적인 존재가 아닌, 생기 넘치고 귀엽고 엉뚱한 용으로 형상화됐다.
안은미의 '드래곤즈' 영국 투어 무대 / 사진. ⓒTom Corban
영국의 댄스 컨소시엄(UK Dance Consortium)의 초청으로 영국을 순회 중인 <드래곤즈>는 2023년 런던 바비칸 센터에서 첫선을 보였다. 당시 공연을 직접 관람한 조 베이츠 영국 댄스 컨소시엄 예술 감독이 이 작품을 초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은미는 사우샘프턴, 캔터베리, 브라이튼, 밀턴 케인즈, 이번 뉴캐슬을 거쳐, 인버네스와 브래드퍼드, 버밍엄까지 8개 도시를 돌고 한 달간의 영국 투어를 마무리한다.

뉴캐슬=조민선 아르떼 객원기자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