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이온 "데이터센터 부품, 반값으로 국산화"

강승호 대표의 도전

외국산 80%인 민간 시장
하이브리드 전력제품 출시
"이르면 내년 상장 추진"
“올해부터 국내 민간 데이터센터 부품시장을 국산화하는 데 본격 나설 계획입니다.”

전력설비회사 이온의 강승호 대표(사진)는 지난 21일 경기 수원 본사에서 간담회를 열어 “국내 민간 데이터센터는 외국산 부품이 장악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표는 “국내엔 경쟁사가 없고 해외 업체와 비교해도 성능 면에서 ‘톱티어’”라고 자신했다. 이온은 무정전전원장치(UPS)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합친 하이브리드 UPS를 올해 민간 데이터센터 시장에 내놓는다. UPS는 데이터센터가 정전이 될 경우 데이터와 하드웨어가 계속 작동하도록 일정 시간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다. 공공조달시장에선 대부분 이온의 UPS를 쓰지만 민간 시장 상황은 다르다. 안정성과 신뢰성이 중요하다 보니 글로벌 기업인 버티브, 이튼, 슈나이더 등 미국 3개사 제품이 전체 민간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화웨이까지 뛰어들었다.

이온은 세계 최초로 UPS에 ESS 설비를 합쳤다. 수도권에서 데이터센터를 지을 때 규제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는 게 강 대표 설명이다.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과 전력계통영향평가가 대표적이다.

전력효율이 99.5%로 기존 UPS(94~95%)에 비해 높아 전기요금을 아끼는 효과도 있다. 강 대표는 “UPS와 ESS를 별도 도입하는 비용에 비해 하이브리드 UPS는 그 절반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온은 올해 국내 최초로 개발한 전압보상기를 출시할 예정이다. 갑작스럽게 전압이 떨어질 때 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다. 강 대표는 “LG디스플레이에 공급할 예정으로 현장 실사만 남아 있다”고 했다. 그는 “외국산 전압보상기는 1500㎾ 한 대에 10억원 정도지만 우리는 6억원에 팔아도 상당한 마진을 남길 수 있다”며 “데이터센터 한 곳에 평균 100억원대 매출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하이브리드 UPS와 전압보상기 등을 국내 최초로 내놓은 건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덕분이다. 이 회사 직원 93명 중 23명이 연구인력이다. 국내 특허도 31건을 보유하고 있다. 2023년에 매출 447억원, 영업이익 18억원을 기록했다. 강 대표는 “내년이나 후년께 상장을 목표로 주관사와 접촉 중”이라고 말했다.

박진우 기자 jwp@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