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희비' 엇갈린 삼성SDI·한화에어로
입력
수정
지면B7
금감원, 한화에어로에 정정 요구
시장 논란에 자금 용도 등 검증
'자진 정정' 완료한 삼성SDI
중점심사 통과 증자 일정 앞당겨
지난달 24일 자진 정정을 완료한 삼성SDI는 오히려 납입일을 6월 5일에서 5월 30일로 약 일주일 앞당기게 됐다. 이달 제출하는 1분기 분기보고서 역시 빨리 제출하고, 조달 시기를 조금이라도 앞당기기로 했다. 금감원의 중점 심사를 통과한 만큼 향후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오는 8일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언급한 정정 요구 사유는 유상증자 당위성, 주주 소통 절차, 자금 사용 목적 등이다. 유상증자 결정 직전 1조원이 넘는 현금을 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사용한 배경과 자금 사용 계획 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주관사는 금감원 요구에 따라 이른 시일 내 정정보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2월말부터 유상증자에 대한 중점 심사제를 도입했다. 제도 시행과 함께 삼성SDI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의 대규모 유상증자 발표가 잇따르면서 부담이 컸다는 후문이다. 심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인력과 시간이 더 많이 투입돼야 하는 데다 향후 유상증자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어서다.
시장의 관심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정정보고서 제출 시기와 그에 대한 금감원의 심사 결과에 쏠리고 있다. 지난해 금양과 이수페타시스 등이 반복적인 정정 요구에 유상증자를 끝내 철회한 바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삼성SDI 증권신고서에 대한 중점 심사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 만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도 결국 공모 절차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최대주주인 ㈜한화가 9800억원 규모 자금을 출자하기로 한 만큼 해당 재원을 마련할 방안도 주목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경우 증자 자체를 막기보단 시장에서 제기되는 의문점을 증권신고서를 통해 해소하라는 취지로 이해된다”며 “금감원 내부에서도 심각한 하자가 있는 유상증자라고 판단하지는 않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최석철 기자 dolsoi@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