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회사에서 '챗GPT' 매일 썼더니…"월급 날로 먹냐" 비아냥

챗GPT로 업무시간 대폭 줄여도
동료 직원 "네 능력 아니다" 지적
직장인 10명 7명 '챗GPT 매일 써'
전문직·사무직 종사자 활용도 높아
"AI 효율 차이 커…피할 수 없는 흐름"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특정 직원에게 '요즘 직원들은 고생을 안하려고 한다, 쉬운 길로만 가려고 한다'는 식으로 핀잔을 듣다가 회식 때 아주 대놓고 '당신은 업무 날로 먹으려고 하잖아, 그거 다 네 실력 아니잖아'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스스로를 보안 엔지니어라고 밝힌 직장인 A씨는 최근 비즈니스 네트워크 서비스 '리멤버'를 통해 업무 중 챗GPT를 활용하다 나이가 위인 같은 회사 직원에게서 이 같은 말을 들었다고 털어놨다. 지난 20일 올라온 이 글은 지난 22일 기준 조회수 1만2000회를 넘어설 정도로 화제가 됐다.

2시간 업무, 30분으로 줄였는데…"네 능력 아냐" 핀잔

A씨는 외부 기관에서 제시한 법령이나 뉴스 기사 등을 분석하고 영어문서 교정 등의 업무를 할 때 챗GPT를 사용한다고 했다. 이 외에도 이메일 작성, 보고서 표 제작 등을 수행하면서 챗GPT로 2시간30분 가까이 걸리던 업무를 30분 정도로 줄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다른 직원에게 핀잔을 듣자 챗GPT를 쓰면 안 되는 것인지 고민스럽다고 했다. 실제로는 직장인들 10명 중 7명꼴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챗GPT를 거의 매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커리어 플랫폼 잡플래닛이 직장인 762명을 조사한 결과 78.9%는 일상생활보다 회사에서 챗GPT를 더 자주 사용한다고 답했다. 일상에서 주로 쓴다는 응답자는 21.1%에 불과했다.

회사 내 활용 방식으로는 '글 작성이나 요약본 생성'을 꼽은 응답이 4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이디어 기획·정보 탐색 28.4% △코드 생성 등 기술적 작업 24.8% △생소한 툴 사용법 확인 4.7% 순이었다.

AI가 직장인들의 필수 도구로 자리를 잡으면서 업무별로 활용하는 생성형 AI 모델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AI 사용자들을 보면 정보 검색이나 보고서 작성, 번역 기능을 활용할 땐 챗GPT를 활용하는 경향이 보이고 통계나 사례, 기사를 검색할 땐 퍼플렉시티 같은 다른 AI 모델을 적절히 구분해서 활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AI 도구를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은 앞으로 직무 역량 판단의 주요 기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AI를 잘 활용하는 것도 업무 능력 중 일부'라는 응답자는 무려 91.1%에 달했다. AI로 자신의 직업이 위협받는다고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57.6%로, 상당수가 AI를 역량 강화 도구로 인식한 셈이다.

'전문직·사무직'엔 AI 필수…"AI 활용 피할 수 없어"

생성형 AI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직군은 전문·관리직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국 2만5509가구,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229명을 조사한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를 보면 전문·관리직 중 53%는 생성형 AI 서비스 경험했다. 이어 사무직 50.7%, 학생 50.1%, 서비스·판매직 26.8%, 생산 관련직 21.3%, 농림·어업직 14.4% 순이었다.

김태훈 서강대 메타버스대학원 교수는 "늘 나타나는 신구 갈등은 있겠지만 AI를 사용하면 업무 효율이 너무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AI를 활용하는 흐름을 피해갈 순 없다"면서 "사내에서 AI 서비스를 사용하다 데이터가 유출되는 문제가 우려될 수는 있지만 이런 문제는 별도의 보안 장치를 마련하는 식으로 대처하면 되고, AI 활용을 '너의 능력이 아니다'라고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A씨 사례와 달리 오히려 AI 툴 사용을 적극 권장하는 기업 관리자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추세대로라면 앞으로 AI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인력을 감축하는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김 교수는 "국내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최근 초급 개발자 채용을 줄이고 있고 기존에 6개월씩 걸렸던 개발 작업도 AI를 활용해서 이틀 만에 끝내기도 한다"며 "기업들이 AI 활용을 독려하고 있다는 건 그만큼 효율이 떨어지는 인력은 내보낼 수도 있다는 '무언의 경고'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짚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