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초대형 산불피해지, 에너지자립 거점으로
입력
수정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기본계획 수립 본격 착수경상북도는 초대형 산불로 인해 발생한 막대한 피해목과 급증하는 미이용 산림부산물을 자원화해 지역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한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기본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산불피해목을 지역 에너지로 전환...순환형 재생모델 추진
도는 12일 도청 회의실에서 착수보고회 및 시군 설명회를 열고, 도 및 시군 관계자, 산림·에너지 분야 전문가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추진 방향과 입지 검토 계획을 공유했다.
경북은 3월 역대급 대형 산불로 광범위한 산림이 소실된 데 이어, 소나무 재선충병 확산 등으로 피해목과 부산물의 대량 발생이 예상된다.
실제로 2024년 도내 숲가꾸기 부산물 발생량은 14만7000㎥로, 2022년 대비 122% 증가했다.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국내에서 생산된 목재 중 산림 내에 남아있거나 부가가치가 높지 않아 이용이 원활하지 아니한 산물(원목생산에 이용되지 않는 산물)도 2019년 4만 3천 톤에서 2024년 45만4000 t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처리와 활용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자원순환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경북도는 이러한 산림부산물을 단순 폐기물이 아닌 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 내에서 소비하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발전소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은 산불 피해가 컸던 5개 시군을 중심으로, 입지 타당성과 자원공급 가능성, 주민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상지를 선정하고, 에너지자립형 산촌 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다.
조현애 경북도 산림자원국장은 “이번 산림바이오매스 발전소 조성 사업은 산불로 상처 입은 숲을 다시 지역의 자산으로 되살리는 전환적 시도”라며 “산림이 가진 잠재 에너지 가치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지역 에너지 자립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오경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