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美 그리어 관심사는 'K조선'…연쇄회담 중 정기선 1시간 면담

韓·美 '항만 크레인'도 협력

정기선, USTR 대표 만나
"HD현대삼호가 공급 가능"
< 한·미 ‘조선 동맹’ 속도내나 >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오른쪽)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16일 제주 중문관광단지 내 한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두 사람은 이날 약 한 시간 동안 회담을 하고 한·미 조선산업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HD현대 제공
정기선 HD현대 부회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HD현대삼호가 미국 항만에 크레인을 공급할 수 있다”고 16일 제안했다. 정 부회장은 이날 제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한 그리어 대표를 만나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조선업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만남은 그리어 대표의 방한을 앞두고 주한미국대사관이 요청했다.

정 부회장은 그리어 대표에게 HD현대중공업과 미국 방위산업 조선사 헌팅턴잉걸스의 협력 사례를 소개하고 기술 공동 개발, 선박 건조 협력, 기술 인력 양성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미국 항만 크레인을 중국산이 독점한 문제를 HD현대삼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뜻을 전했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주요 항구에는 200기가량의 중국산 크레인이 설치돼 있다.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중국 정부의 지원금을 받는 상하이전화중공업(ZPMC) 제품이 대부분이다. 미국 정부는 5년간 200억달러(약 27조원)를 들여 이들 항만 크레인을 교체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HD현대가 미국이 가려워하는 조선·해양 분야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 등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HD현대·한화오션과 릴레이 면담…조선업 전방위 논의
관세협상 지렛대로 부상…안덕근·그리어 '2+2 협상' 점검

한·미 조선 협력이 양국 관세 협상의 핵심 지렛대라는 점이 16일 다시 한번 확인됐다. 지난달 24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2+2 통상협의’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한국의 조선 협력 패키지를 ‘최상의 제안(A game)’이라고 평가한 데 이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 중인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이날 제주에서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와 따로 만나 관련 논의를 이어가면서다.

◇정기선 ‘헌팅턴 협력 확대’ 美 제안

정 부회장은 이날 아침 일찍 제주를 찾아 중문관광단지 내 한 호텔에서 그리어 대표와 1시간가량 면담했다. 이날 오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40분가량 회동한 것과 대비된다. 두 사람은 선박 건조와 유지·보수·정비(MRO), 항만 크레인 등 전방위적인 한·미 조선·해양 부문 협력 방안에 관해 대화를 나눴다. 이 면담은 주한미국대사관이 HD현대에 요청해 성사됐고,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 대행도 동석했다.

USTR은 무역정책을 수립, 조정, 집행하고 불공정무역을 시정하는 등 광범위한 권한을 쥔 대통령 직속 장관급 기구다. 한국을 방문한 USTR 대표가 바쁜 일정 속에 국내 조선사 최고경영진을 콕 집어 만난 것은 미국 해군성 장관 방문과는 의미가 다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 부회장은 HD현대중공업과 미국 최대 방위산업 조선사 헌팅턴잉걸스의 협업 사례를 그리어 대표에게 자세히 소개했다. 미시시피주에 있는 헌팅턴잉걸스는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과 구축함의 독점 생산 업체로 이름이 높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숙련 기술자 은퇴와 공급망 이슈로 선박 인도 지연과 품질 저하 문제를 겪고 있다.

HD현대는 헌팅턴잉걸스 측과 지난 4월 ‘함정 동맹’을 맺고 공정혁신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정 부회장은 헌팅턴잉걸스 외 미국 조선소에 자동화·로봇 도입 방안, 인력 교육, 블록 제작 등을 포괄하는 협력을 제안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산이 독점한 미국 항만 크레인 교체 사업에 HD현대삼호의 참여 가능성을 내비친 것도 미국의 구미에 맞는 제안이라는 평가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중국이 항만 크레인에 담긴 보안소프트웨어로 유사시 미국 항만 시설을 작동 불능 상태에 빠뜨려 군수 물자 이동 등을 차단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말했다. USTR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국산 크레인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그리어 대표는 이후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와도 별도로 만났다. 김 대표는 필리조선소에 이어 미국 내 조선소에 투자하는 방안과 현지 조선소 기술 이전, 공급망 안정 방안 등 한화오션의 대미 전략을 전했다. 한화오션 측은 “거제 조선소의 스마트 생산 시스템을 미국 필리조선소에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선업계에선 그리어 대표와 두 조선사 수장들이 미 전략상선대 확충을 위한 방안을 놓고도 폭넓게 대화를 나눴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음주부터 한·미 2차 기술협의

한·미 통상당국은 다음주 미국에서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협상하기로 했다.

안 장관은 이날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그리어 대표와 양자회담을 한 후 연 기자간담회에서 “그리어 대표와 다음주에 제2차 기술 협의를 하는 데 합의했다”며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 정부와 본격적인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표단 수석대표는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이 맡는다.

안 장관은 “우리나라는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는 걸 넘어서 산업 협력을 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파트너라는 점에서 (미국이 특별히) 호의적인 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미 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7월 8일을 협상 시한으로 두고 포괄적 합의인 ‘줄라이 패키지’를 도출하자고 합의했다. 안 장관은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정부는 국익 최우선을 목표로 미국과 적극 협의해나가겠다”며 “협의 과정을 국회와 국민 여러분께 소상히 설명할 예정”이라고 했다.

김진원/제주=김대훈 기자/김리안 기자 jin1@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