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수요, 10년간 343% 폭발'…우주 인프라 청사진 그리는 삼성
입력
수정
지면A5
삼성, 우주산업 진출…'후방 산업' 공략나선 K제조업
덩치 커지는 우주 발사 시장
현 인프라론 발사 수요 못 따라가
발사장 건립·소부장 산업에 주목
美·英·대만 등 각국서 뛰어들어
발사대 건설, 시공기술 총동원돼
소재·진동 제어·운영 설비 등
고난도 엔지니어링 기술 집약체
플랜트 다뤄본 韓건설사에 유리
이 자리에서 우주 전문 투자사 세라핌스페이스는 10년 후 우주산업 규모가 1조달러에 달하고 비우주 기업이 주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이 세계 5대 우주강국에 진입하려면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로켓 제작이나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심우주 탐사보다 발사 인프라, 소재·부품·장비 등 우주 후방 산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오는 이유다.
◇플로리다에 ‘우주 공항’ 건립 유력
삼성전자 산하 선행 연구조직인 삼성리서치는 우주 전문가들을 채용했다. 이들이 작성한 우주 전후방 산업 분석 리포트를 삼성 계열사들이 받아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벤처투자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 등과 함께 미국 위성 스타트업 로프트오비탈에 투자했다. 로프트오비탈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항공우주국(NASA), 유럽 최대 방산기업인 BAE시스템스와 유럽우주청(ESA)을 고객으로 두고 있다.
세계 각국이 발사장 건설에 나서고 있는 점도 삼성물산 등 국내 건설업계의 우주사업 진출을 자극했다. 세계 반도체 제조 패권을 쥔 대만만 해도 우주 로켓 발사장을 한창 짓고 있다. 군용 미사일을 개발하는 국가 방위산업연구소인 국가중산과학연구원이 있는 핑둥현 주펑 지역에 2030년께 들어설 예정이다. 영국은 최북단 셰틀랜드제도에 건설 중인 색사보드 우주발사장을 비롯해 네 곳에 발사장을 짓고 있다. 노르웨이 안도야우주센터는 연구용 발사체를 넘어 소형 발사체를 쏘아 올릴 수 있는 곳으로 개조되고 있다. 스웨덴은 지난 1월 소형 발사체 발사장인 에스랑에우주센터를 개장했다.
우주 인프라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은 연방항공청(FAA) 주도로 국가 우주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로켓 발사 개념을 넘어 재사용 발사체 특화 착륙장과 상시 우주여행을 가능케 할 인프라, 우주선 수송·정비를 아우르는 ‘스페이스 포트 콤플렉스’ 건설이 목표다. 장소는 플로리다주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블루오션 ‘우주 포트’ 선점해야
업계에선 삼성물산이 주목한 우주 발사장 시장을 한국이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우주산업의 바로미터인 위성 수요 증가는 발사장 건설 시장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 수요는 지난 10년(2012~2021년) 동안 5519기였으나 이후 10년(2022~2031년) 간 2만4468기로 343%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 우주 스타트업 대표는 “배달 물건과 배송 차량은 늘어나는데 터미널이 없는 셈”이라고 말했다.
우주 발사장 건설의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발사 시스템의 극히 일부분만 지상에 드러나서다. 발사장 지하에는 로켓 연료, 산화제, 각종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가 많고 이를 발사체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서브시스템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 발사장 배관은 평균 1.5㎞ 길이로 문어발처럼 깔려 있다.
우주 발사장은 고온·극저온 소재, 초정밀 진동 제어, 자동화 운영 설비 등 고난도 엔지니어링이 망라된 융합 산업이다. 발사장과 부대 시설은 엔진이 분사하는 3000도 이상의 화염을 견딜 수 있게 건설해야 한다.
극한의 고열로부터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로켓 발사 시 대량의 물을 쏟아내는 워터델루지 시스템도 초고층 빌딩, 북극·심해 플랜트 등을 시공해본 국내 대형 건설사 입장에선 충분히 선점할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 우주 후방 산업
발사대 건설 및 운영, 저궤도 우주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프라와 반도체 등 소재·부품·장비를 개발 제조하는 뉴스페이스 시대 신산업.
강경주 기자 qurasoha@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