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화수분' 만들자…인디 게임 생태계 꾸리는 IT 업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마게, 국내 최대 인디 행사 '버닝 비버' 개최
창업자가 재단 꾸려 인디 게임 생태계 지원
83팀 전시에 350여팀 몰려…해외 개발자도 ‘눈독’
크래프톤·엔씨도 인디 생태계 접점 늘려
창업자가 재단 꾸려 인디 게임 생태계 지원
83팀 전시에 350여팀 몰려…해외 개발자도 ‘눈독’
크래프톤·엔씨도 인디 생태계 접점 늘려

스마일게이트는 지난달 29일부터 1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게임 개발팀 83팀을 모아 인디 게임 페스티벌인 ‘버닝 비버’를 개최했다. 인디 게임은 10명 이내 소수 인원으로 만든 게임을 가리킨다. 올해가 세 번째인 이번 행사엔 참가 신청팀만 350여곳이 몰렸다. 지원팀 수가 해마다 30%가량 늘면서 버닝 비버는 국내 최대 규모 인디 게임 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엔 해외팀 3곳도 참여했다. 권혁빈 스마일게이트 창업자가 퓨처랩 이사장으로서 인디 게임 지원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인디 게임은 스타트업이 세계적인 대박을 꿈꿀 수 있는 몇 안 되는 ‘노다지’ 산업으로 꼽힌다. 콘텐츠의 재미만 보장되면 국경을 뛰어넘는 흥행이 가능해서다. 세계 최대 규모 PC 게임 플랫폼인 스팀에서 지난 1월 출시된 ‘팰월드’는 대표적인 인디 게임 성공 사례로 꼽힌다. 일본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이 만든 이 게임은 출시 첫 달에 동시 접속자 210만명을 모았다. 스팀 역대 3위 규모 기록이다. 이 게임이 굿즈 판매로 사업을 넓히자 일본 닌텐도가 이를 견제하고자 지식재산권(IP) 침해 소송을 제기했을 정도다. 지난 5월 출시 이틀 만에 100만장이 팔린 게임인 ‘매너 로드’도 영상 디자이너가 개발한 인디 게임이었다.

스마일게이트는 기업재단인 퓨처랩을 두고 인디 게임 생태계를 키우는 일에 집중해왔다. 백민정 스마일게이트 퓨처랩 센터장은 “게임 산업 전체가 유기적으로 건전한 방향으로 크기 위한 단초가 인디 게임”이라며 “뚜렷한 상업적 목적 없이도 창작 생태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IT 업계에선 기존 산업에서 내놓지 못했던 참신한 아이디어를 과감히 선보일 수 있다는 점도 인디 게임의 매력으로 꼽고 있다. 버닝 비버에서도 가짜 SNS 세계를 게임에 구현해 범죄 용의자를 추적하는 게임, 시각장애인의 야외 이동을 체험하는 게임, 광원에 따라 바뀌는 그림자로 퍼즐을 푸는 게임 등 기발한 발상으로 무장한 게임들이 주목 받았다. SNS 추리 게임인 ‘페이크북’을 개발한 이유원 반지하게임즈 대표는 “이번 행사로 서울 도심에서 인디 게임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며 “최근엔 IT 업계뿐 아니라 광고 등 콘텐츠 영역 전반에서 인디 게임에 대한 투자 관심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주현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