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전망 3분기 연속 악화…2025년도 '먹구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연구원은 지난달 9∼24일 국내 1500개 제조업체를 상대로 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2025년도 연간 매출 전망 BSI가 91에 그치며 2024년 전망치(99)보다 하락했다고 12일 밝혔다.

분기별로 보면 올해 1분기 매출 전망 BSI는 88로, 전 분기(95)보다 7포인트 하락했다. 분기별 매출 전망 BSI는 작년 2분기 102를 기록한 뒤 작년 3분기 98로 기준선인 100 이하로 내려왔다 작년 4분기엔 95로 낮아졌다. 이번 분기에 여기서 7포인트가 더 내려갔다.
매출(88)을 비롯해 시황(87), 수출(91), 설비투자(95), 고용(96), 자금 사정(85) 등 다른 항목의 1분기 전망 BSI도 모두 기준인 100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 전망 BSI를 업종별로 보면 전 분기에는 기준선 이상이었던 무선통신기기(112→92), 바이오·헬스(103→98), 이차전지(100→92)등이 기준선 밑으로 떨어졌다. 반도체(92→88), 자동차(94→92), 조선(99→95), 정유(97→85), 철강(92→74)등 대부분 업종도 전망이 보다 어두워졌다.
작년 4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87로 전 분기와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 시황 현황 BSI는 84로 전 분기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BSI 조사와 별도로 이뤄진 현안 설문(복수 응답)에서 제조업체들은 '내수 부진 및 재고 누증'(49%), '대외 불확실성 지속'(47%), '고환율 및 생산비 부담 가중'(42%) 등을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이달 20일 예고된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영향과 관련해선 '인플레이션 재심화 및 고금리 지속'(41%), '고율 관세 부과 영향'(24%) 등을 우려했다. '중국산 제품 대체 효과'(13%)를 기대한다는 응답은 많지 않았다.
황정환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