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44%…“높아진 전세 문턱 원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동산R114,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 분석
전세·월세값 올라, 기존 월세 계약 갱신하는 사람 늘어
전세·월세값 올라, 기존 월세 계약 갱신하는 사람 늘어

부동산 정보업체인 부동산R114는 지난 2년 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작년 4분기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에서 전세 비중은 56.0%(3만112건), 월세 비중은 44.0%(2만3657건)였다고 10일 발표했다. 월세 비중은 이 기간 최고치였다. 전분기보다는 3.3%포인트 올랐다.
김지연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 사기 여파와 2023년 5월부터 꾸준히 오른 전셋값에 월에 시장으로 이동한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월세 비중은 더 높아질 전망이다. 전세 가격을 올릴 요인이 많기 때문이다.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못 갚을 때 정부가 대신 갚아주는 전세보증 비율이 현행 100%에서 90%로 낮아질 예정이라 전세대출 한도가 축소될 수 있다.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부족도 전세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순수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활될 수밖에 없다”며 “이른바 ‘전세의 월세화’가 당분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