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쌓인 종이 도면, 3D 변환…"의료·우주부품까지 다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잃어버린 30년' 견딘 日중기
(2) 日철공소 텔믹, DX로 연매출 500억원 달성
금속공방서 설계기업 도약
中협력사 50곳…외주생산 전환
견적 받아 납품까지 하루면 가능
영업 방식도 '홈쇼핑'처럼 바꿔
유튜브·소셜미디어로 고객 유치
"3년내 매출 1000억원 달성할 것"
(2) 日철공소 텔믹, DX로 연매출 500억원 달성
금속공방서 설계기업 도약
中협력사 50곳…외주생산 전환
견적 받아 납품까지 하루면 가능
영업 방식도 '홈쇼핑'처럼 바꿔
유튜브·소셜미디어로 고객 유치
"3년내 매출 1000억원 달성할 것"

1990년 작은 철공소에서 시작한 텔믹은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제조(모노즈쿠리)의 엔터테이너화’를 표방하는 혁신 기업이다. 디지털 전환(DX)을 발판으로 마케팅 혁신에 성공한 마치코바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도면 DB화…소셜미디어 적극 활용
텔믹은 산업용 금속 부품을 가공한다. 원래 철공소에서 자체 제작했으나 지금은 중국 50개 협력 업체를 통한 외주 생산 방식으로 전환했다. 텔믹이 만드는 제품은 거의 단품이다. 자동차나 항공산업 분야 제조 업체에서 주문하는 맞춤형 지그(jig·제조 공장의 보조 기구) 수요가 가장 많다.
견적에서 납품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과정을 위해 텔믹이 가장 공을 들인 건 도면의 데이터화다. 텔믹은 20여 년간 수주하면서 받은 도면을 3차원(3D) 형태로 입력한 ‘MIC 시스템’을 독자 개발해 영업에 활용하고 있다. 오랜 경력에서 쌓인 눈썰미와 손재주로 대응하는 대다수 소공인과 다른 점이다. 다나카 대표는 “헤아릴 수조차 없을 정도로 모아놓은 도면을 데이터화하니, 조금만 응용하면 고객사가 요청하는 웬만한 주문을 다 맞출 수 있다”며 “도면을 잘 볼 줄 모르는 여직원도 고객사와 상담하거나 영업하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거래처를 돌아다니며 수주하던 영업 방식도 채팅, 이메일, 전화 상담 등으로 이뤄지는 온라인 플랫폼 시스템으로 바꿨다. 구글, 야후재팬 등 포털사이트의 리스팅 광고와 소셜미디어 등을 활용해 자사 홈페이지로 유도한다. 홈페이지에는 견적 의뢰 사이트가 개설돼 있다. 제조업에 쿠팡과 홈쇼핑식 마케팅 기법을 접목한 셈이다. 매주 수요일엔 라디오 생방송을 하고 유튜브에 녹화 방송을 띄워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약 15억엔을 투자해 물류 방식도 DX 시스템으로 뜯어고쳤다. 첨단 물류센터에선 중국에서 보내온 제품을 무인운반차량(AGV)과 자동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해 제품을 출하한다. DX 혁신에 성공한 텔믹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2014년 3억5700만엔이던 매출은 지난해 51억8600만엔으로 약 14배 늘었다. 3년 뒤엔 100억엔을 넘어서는 중견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다.
◇DX 혁신 통해 초고속 성장

마케팅 혁신에도 나서고 있다. 매년 지역 주민을 초청해 금속 가공 체험 이벤트를 연다. 작업장에 남은 금속 자재로 자동차와 비행기 모양 장난감을 만들어 파는 ‘토이 메탈’ 브랜드를 출시했으며 인스타그램 홍보도 시작했다.
윤정호 한국소공인진흥협회 본부장은 “한국 소공인이 고령화와 2세 승계 거부로 수십 년간 쌓은 암묵지가 사장될 위기에 놓여 있는 만큼 일본처럼 데이터화하거나 마케팅 혁신을 거쳐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도코나메·고모노마치=이정선 중기선임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