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본부의 모습. /사진=로이터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본부의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외원조기관인 국제개발처(USAID)의 사실상 폐지에 나서면서 전 세계적으로 결핵 확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은 트럼프 정부의 지원 삭감으로 전 세계 결핵의 예방·진단·치료 시스템이 급속히 붕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결핵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감염병이다. 2023년 결핵 사망자 수는 125만명에 달했다.

그해 새로 결핵 진단을 받은 환자 수만 820만명으로 이는 1995년 관련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연간 신규 결핵 환자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 해체 수준으로 내몰린 USAID는 그동안 결핵 퇴치에 가장 크게 공헌한 기관 중 하나였다고 NBC는 전했다.

최근까지 USAID는 전 세계 결핵 퇴치 예산의 4분의 1인 연간 최대 2억5000만 달러를 제공해왔고, WHO는 미국의 이 같은 막대한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세계 24개국에서 결핵 퇴치 프로그램을 운용해왔다.

WHO는 "미국의 지원 삭감으로 인해 질병에 취약한 18개국,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이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엔 산하 기구로 결핵 박멸을 목표로 하는 '스탑 TB 파트너십'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1월 24일 이후 지금까지 USAID의 원조 중단으로 3600여명의 추가 결핵 사망자와 6400여명의 추가 보균자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해외에서 결핵이 확산하면 미국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커진다. 실제 1985~1992년 미국에서 결핵이 다시 유행했던 시기는 결핵 통제 프로그램이 삭감되고, 세계적으로 결핵이 확산하던 때와 겹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