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와 우량 회사채가 뛰어난 투자 성과로 관심을 끌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0년 만기 국고채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의 평균 수익률은 지난 1년간 20% 안팎에 달한다. ‘Kodex 국고채30년 액티브’ ETF는 16.0%, ‘’ ETF는 20.6% 수익을 냈다. 같은 기간 미국 나스닥지수 상승폭 9.1%의 두 배를 웃돈다. 코스피지수는 이 기간 5.4% 하락했다.

한국 장기 채권의 괄목할 만한 성과는 어두운 경기 전망에 기인한다. 경기 전망 악화는 채권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시장금리의 하락을 불러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17일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5%로 하향했다.

단기 채권 ETF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추세에 힘입어 선전하고 있다. 관련 상품 대부분이 지난 1년간 3.5~4.0% 수익을 냈다. 높은 안정성과 낮은 변동성 매력을 감안할 때 만족스러운 성과다. 은행의 1년짜리 정기예금 금리는 연 2.5~3.0%다.

채권 비중을 늘리려는 투자자라면 정치권의 추가경정예산 논의에 관심을 둘 만하다. 10조~20조원 규모로 거론되는 추경은 국채 발행 물량 증대를 의미한다. 논의 과정에서 일시적인 채권 가격 하락이 나타나면 국채와 우량 회사채 매입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신성호 증권부 연구위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