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풀리자 서울 아파트 매매 47% 껑충…7개월 만 반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교통부 2월 주택 통계
악성미분양 역대 최고
악성미분양 역대 최고

반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보다 4% 증가하면서 한 달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전체 주택 매매는 7230건으로 전월 대비 37.9% 증가했다. 서울 주택 매매량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이다.
토허제 해제와 봄 이사철 수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아파트 거래량이 3233건에서 4743건으로 46.7%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매매량은 2만4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증가했고, 지방은 2만6672건으로 30.3% 늘었다.
전국 주택 매매는 5만698건을 기록해 전월 대비 32.3% 증가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16.6% 늘었다.

2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61가구로 전월보다 3.5% 감소했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7600가구로 전월보다 10.9%, 지방은 5만 2461가구로 0.8% 감소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역대 최고를 경신했다. 지난달 말 악성 미분양은 전월 대비 3.7% 늘어난 2만3772가구에 달했다. 지방 물량이 1만9179건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특히 충북 지역 악성 미분양이 565가구를 기록하며 전월보다 40.2% 급증했다. 규모별로 보면 △대구 3067건 △경북 2502건 △경남 2459건 △전남 2401건 △부산 2261건 순으로 많았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