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임형택 기자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임형택 기자
서울시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모든 아파트 단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면서 풍선효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성동구 등 토지거래허가제로 묶이지 않은 인접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포착됐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3월 다섯째 주 서울 집값은 전주보다 0.11% 오르면서 전주 상승률을 유지했다. 시장이 숨 고르기에 들어가면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에 비해 절반으로 내려온 상승 폭이 유지되는 모양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대상이 된 강남 3구와 용산구는 집값 상승 폭이 빠르게 줄고 있다. 강남구 집값은 이번 주 0.21% 상승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직전이던 이달 셋째 주 0.83% 오른 것에 비하면 상승 폭이 반의반 수준으로 내려왔다. 같은 기간 서초구 상승률도 0.69%에서 0.16%로 쪼그라들었다.

규제 직후 0.03% 하락했던 송파구는 0.28% 상승으로 반등했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직전 0.79% 올랐던 것에 비하면 상승 폭이 크게 낮아졌다. 용산구도 0.20% 상승에 그쳤다. 이들 지역은 아파트 거래도 사실상 멈췄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남구에서 압구정동 '은마'가 2건 거래됐고, 서초·송파·용산구에서는 거래가 아예 없었다.
서울 성동구 금호·옥수동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한경DB
서울 성동구 금호·옥수동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한경DB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집값 상승세가 관측됐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성동구가 금호·응봉동 위주로 0.30%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금호동 '금호대우'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26일 16억5000만원(19층)에 거래됐다. 전달 14억6500만원(19층)에 비해 한 달 만에 1억8500만원 상승했다. 이 아파트 전용 59㎡ 역시 같은 날 13억9000만원(20층)에 팔렸는데, 전달 11억9000만원(14층)에 비해 2억원 뛴 액수다.

인근 개업중개사는 "단지에서 나와 동호대교를 건너면 압구정동까지 5분 거리"라며 "강남 갭투자가 막히면서 반사이익을 예상한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두고 가격을 높이는 추세"라고 말했다. 다른 개업중개사도 "용산과 강남, 성수동 등 주변이 모두 토지거래허가구역이지만, 이 지역은 적용되지 않았다"며 "금호·옥수동 일대 문의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호동 '신금호두산위브' 전용 84㎡ 역시 지난달 29일 12억2000만원(13층)에 팔리며 직전 거래 대비 1억8000만원 올랐다. 인근 행당동 '행당한진타운' 전용 114㎡도 15억9000만원(12층)에 손바뀜되며 지난달 15억원(17층)보다 9000만원 상승했고 '행당대림' 전용 114㎡는 전달 15억7500만원(14층)에서 5500만원 오른 16억3000만원(11층)에 거래됐다.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이어 양천구가 목·신정동 위주로 0.20% 뛰었고 마포구도 염리·아현동 주요 단지 위주로 0.18% 올랐다. 영등포구는 신길·여의도동 위주로 0.16%, 광진구는 광장·자양동 위주로 0.13% 오름세를 보였고 종로구도 창신동 위주로 0.09% 상승했다. 노원구(-0.02%), 도봉구(-0.03%), 강북구(-0.02%)는 하락 전환했다.

시장 상황에 대해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 관망 심리가 확대되며 거래가 한산한 모습을 보인다"면서도 "재건축 추진 단지 등에 대한 국지적 수요는 여전해 시장 분위기기가 혼조세를 나타내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전셋값은 0.05% 오르면서 상승세를 유지했다. 지역별로 강동구가 암사·천호동 준신축 위주로 0.16%, 송파구도 잠실·신천동 위주로 0.15% 뛰었다. 영등포구는 당산·문래동 역세권 위주로, 동작구는 사당·상도동 위주로 0.10%씩 상승했다. 용산구와 마포구도 이촌·문배동 위주로, 도화·대흥동 주요 단지 위주로 0.06%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가 지속되고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면서 서울 전셋값 상승세가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