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에 범야권 통합 대선 경선 방식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 국민 경선제)를 재차 제안했다. 김부겸 전 총리 등 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도 가세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 독주 속에서 이 대표 측과 비명계 잠재 후보들 간 신경전이 오픈프라이머리를 둘러싼 이견으로 표출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대표 권한대행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다가오는 대선은 민주진보 진영이 압도적인 승리를 해야 한다”며 민주당에 오픈프라이머리를 다시 제안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달 진보진영 정당 후보와 시민사회단체 인사 등이 참여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제안했다. 김 권한대행은 “민주당의 결단을 촉구한다”며 “(민주당 대선주자들이) 민주당 안 후보가 될 것인지 헌정 수호 세력 전체의 후보가 될 것인지를 헤아려 주기 바란다”고 했다.

조국혁신당 주장에 민주당 내 비명계 인사들도 힘을 보태고 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SNS에 “이제 새로운 질서를 만들 시점”이라며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완전 국민 경선’이 열쇠가 될 수 있다”고 썼다. 그는 “민주당 경선이 형식적 절차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민주당 울타리를 넘어 범야권 세력이 크고 튼튼하게 하나 되는 과정을 만들어가자”고 했다.

비명계 의원 모임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의원은 “완전 국민 경선제는 민주당 의지만 있다면 가능한 일”이라며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야권 완전 국민 경선제를 적극 검토해볼 만하다”고 했다. 박광온 전 의원도 “조국혁신당이 다시 제안한 야권 오픈프라이머리 수용이 필요하다”며 “야권과 시민사회가 연합 플랫폼에 모여 개헌과 사회대개혁 방안을 합의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의도가 뻔히 보일 뿐만 아니라 대선 준비 기간이 짧아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부정적인 분위기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조국혁신당의 오픈프라이머리 제안에 대해 “지도부 차원에서 논의된 바가 없다”면서도 “각 당에서 대통령 후보를 정한 이후 범야권 후보 단일화를 통해 정권 교체를 실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당이 아닌 범야권 차원의 경선 플랫폼을 대선 후보 등록 전까지 한 달여 기간에 만들어 적용시키는 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한 친명계 의원은 “이 대표에 대한 압도적 지지가 여러 여론조사로 확인되고 있는데 오픈프라이머리를 하자는 건 정치적 존재감을 키워보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김웅 전 국민의힘 의원은 “국민의힘은 이번 대선에 후보를 내지 않아야 한다”며 “민주당 내 양심 세력부터 합리적 진보 진영까지 모두 모아 국민의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했다.

한재영/정상원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