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만달러 뚫은 비트코인, 다음은?…美 주정부 비축 움직임에 기대 Up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관세 정책 유예에 반등한 비트코인
美 주정부 비트코인 비축 움직임 확산
제도권 수요 기반 '추가 상승' 기대감
美 주정부 비트코인 비축 움직임 확산
제도권 수요 기반 '추가 상승' 기대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대부분의 상품에 최소 1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고, 57개국에는 별도의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5일에는 한국을 포함한 80여 개국에 대해 최대 50%에 이르는 상호관세 부과를 결정했고, 9일부터 공식 시행됐다. 하지만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을 제외한 75개국에 대해서는 90일간 상호관세를 10%로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관세 정책 발효 직후 폭락한 뉴욕증세는 다시 폭등세로 전환했다. 이날 S&P500 지수는 9.52% 상승한 5456.90에 마감해 2008년 이후 단일 거래일 기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2962.86포인트(7.87%) 급등한 40608.45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12.16% 오른 17124.97로 장을 마쳤다. 이는 각각 2020년, 2001년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CNBC에 따르면 이날 하루 300억주가 거래돼 월가 역사상 가장 많은 일일 거래량을 기록했다.
비트코인도 반등 흐름을 나타냈다. 8일 7만4000달러선까지 밀렸던 비트코인은 9일 바이낸스 테더(USDT) 마켓 기준 8만3000달러선을 회복하며 전일 대비 8% 가량 상승했다. 이더리움(ETH)은 13.7% 급등해 1670달러를 돌파했으며, 엑스알피(XRP)과 솔라나(SOL)도 각각 14%, 12.4% 오른 2달러, 119달러선을 기록 중이다.

가상자산 비축 법안이 가장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은 애리조나주다. 애리조나주는 '디지털자산 전략적 준비기금 설립 법안(SB 1373)'과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법안(SB 1025)'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으며, 두 법안은 지난 3일 하원 전체 위원회를 통과했다. 법안 발효까지는 제3차 본회의 및 하원 최종 표결만이 남은 상태로, 이후 주지사의 서명을 거쳐 정식 법제화될 전망이다.
텍사스주도 지난달 8일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및 투자법(SB 21)'을 상원에서 통과시켰고 플로리다주는 비트코인을 주정부 기금의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미시간주는 전체 기금의 최대 10%를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도 비트코인 준비금 법안(H4256)이 발의됐다. 해당 법안은 주 재무장관에게 전체 기금의 최대 10%를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최대 보유 한도를 비트코인 100만개(약 770억달러)로 설정한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주정부 차원에서의 전략 자산화 움직임이 확산될 경우 비트코인의 수요 기반 확대와 제도권 편입이라는 측면에서 시장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자산운용사 반에크는 지난 2월 보고서를 통해 "미국 주정부들이 비트코인 비축 법안을 도입할 경우 최대 24만7000BTC, 약 190억달러 규모의 수요가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정석문 프레스토 리서치 센터장은 "주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법안 통과는 새로운 장기 매수세력 유입과 같다"며 "이는 비트코인 이미지 개선과 일반 투자자의 접근성 제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윤승식 타이거리서치 선임연구원도 "만약 주정부가 연방정부의 몰수 자산 활용과 달리 시장 매수 중심으로 비축에 나선다면 이는 글로벌 국가 및 기업들의 매수 움직임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비트코인의) 가격 반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황두현 블루밍비트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