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시간 번 삼성…폰·메모리 불확실성 여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품목관세 따라 업황 침체 우려


미국 정부가 지난 11일 ‘관세 가이드라인’을 통해 스마트폰을 상호관세 예외 품목으로 지정하며 한숨 돌리는 분위기였다. 이틀 만인 13일 분위기가 다시 바뀌었다.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에 품목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반도체업계 셈법은 다시 복잡해졌다.
한 달여 뒤 반도체의 품목별 관세 부과 방향과 정도가 정확히 결정되는 만큼 다시 업황이 침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상호관세 예외 품목에 들어갔던 스마트폰, PC 등에 품목관세가 매겨지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던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가능성이 다시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품목관세 부과→정보기술(IT) 기기 가격 상승→소비 둔화→범용 메모리 수요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 라이벌인 애플도 똑같은 조치를 받게 된다는 점에서 삼성뿐만 아니라 반도체업계 전체의 고민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황정수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