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제 부문 대선 공약을 설명하고 있다.  김동연 캠프 제공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경제 부문 대선 공약을 설명하고 있다. 김동연 캠프 제공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김동연 후보(경기지사)는 ‘당당한 경제 대통령’을 대선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행정고시 26회에 합격한 이후 기획재정부 등 경제 부처에서 줄곧 일해온 이력을 전면에 내세웠다. 김 후보는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조정실장을, 문재인 정부에서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22일 한국경제신문 인터뷰에서 “벤처와 중소기업은 물론이고 대기업까지 신나게 뛸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대통령에 당선되면 경제를 살리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경제 부문 공약의 핵심을 ‘대한민국을 바꾸는 5대 빅딜’로 제시했다. 기회경제, 지역균형, 기후경제, 돌봄경제, 세금 재정 등 5대 분야에서 대대적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이를 위해 여야와 진보·보수, 노사가 통 크게 주고받는 빅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후보는 “5대 빅딜의 첫걸음은 투자와 일자리에서 대기업 역할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동계는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양보하고, 정부는 규제를 완화해 대기업이 마음껏 투자하고 일자리를 늘릴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기업이 국제적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대기업이나 재벌이 시장에서 불공정한 문제를 만드는 것에는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대로 된 진보는 시장을 존중하며 시장에서 벌어지는 불공정과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라며 “시장을 무시하거나 부정하면 제대로 된 진보가 아니다”고 못 박았다.

김 후보는 경제 대통령을 목표로 내세우면서도 ‘국민소득 O만달러’ ‘△% 성장’ 등은 구호로 내걸지 않았다. 그는 “지금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논의해야 할 때”라며 “양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구호는 현재 경제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나온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질적 성장을 위해선 모든 경제주체가 골고루 성장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며 “수출기업은 크는데 내수기업이 부진하다든지, 기업은 돈을 잘 버는데 가계 소비는 위축된다든지 하는 일이 벌어지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이번 대선 기간에 다른 후보들과 달리 증세를 언급해 주목받았다. 그는 “세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표를 얻기 위해 감세를 내세우는 건 대한민국 장래를 생각하지 않는 포퓰리즘”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고 무작정 증세하자고 주장한 것은 아니다. 그는 “감세는 필요한 부분을 골라내는 ‘핀셋 감세’를 해야 한다”며 상속세와 가상자산 관련 세금 등을 줄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경제 외 부문에선 ‘기득권 타파’를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대통령이 된다면 대통령실 권한을 줄이고 책임총리와 책임장관 중심으로 국정을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재정과 예산을, 검찰은 수사와 기소 기능을 분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국회의원도 불체포특권 등 기득권을 내려놔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현우/원종환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