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인 한동훈 전 대표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만나 "(이번 대선에서) 대학입시 제도를 바꿔 사회를 흔들지 않겠다"고 했다. 교사의 역할과 교육의 지향점을 새로운 헌법에 담겠다고도 약속했다.

한 후보는 22일 한국교총을 방문해 강주호 한국교총 회장 등과 만났다. 한 후보는 강 회장과의 면담 비공개 면담 이후 현직 교사들과 대화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송석준·배현진· 정성국·박정훈·유용원·김소희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이 참석했다.

한 후보는 이 자리에서 "다른 사람 앞에 서면 두 손을 모으는 버릇이 있는데 어릴 때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것"이라며 "선생님들이 겸손한 태도를 갖는 것이 몸에서 배어 나와야 한다고 가르쳐주셨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인구구조가 급변하는 만큼 내실 있는 교육이 더 필요한 때"라고 했다.

한 후보는 "아이를 원하는 공동체로 바꿔나가야 한다"며 출산율이 떨어진다고 교원의 숫자를 줄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인구가 줄기 때문에 줄어드는 인구를 더 잘 교육해야 한다"고 했다.

교권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한 후보는 "교권이라고 해서 국민들이 '권력'이라고 인식하는데 (학생들을) 제대로 교육하기 위한 기반과 전제"라며 "법무부장관 당시 서이초 사건 등을 보면서 마음이 아팠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도를 명확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교육 정책에 선생님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정치인이 교육 정책에 접근할 때 자기 경험을 토대로 보는 경우가 많다"며 "간접적인 영역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있지만 교육정책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은 그러면 안 된다"며 "선의로도 잘못된 정책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교원들이) 목소리를 내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한 후보는 대학입시 정책을 섣불리 내놓지 않겠다고도 했다. 그는 "많은 후보가 입시를 이야기하지만, 입시는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다"며 "그걸 대통령 선거와 같은 큰 상황에서 던지면서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지 않겠다"고 말했다.

개헌을 추진할 때 교육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전 대통령은 모두 과거로 하고, 미래를 향해 가야 하는데 그럴 수 있는 도구가 '개헌'"이라며 "개헌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지향점, 교사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한 정의를 헌법에 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생만 가르쳐주지 말고 저 같은 정치인도 알려달라"며 "저도 배울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2차 경선 진출 소감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엔 "아직 내용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주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