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진=뉴스1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진=뉴스1
'조용한 설계자'. 한동훈 캠프의 특보단장을 맡은 김종혁 전 최고위원의 별명이다. 언론인 출신으로, 보수 대선후보 캠프에서 보기 드물게 메시지뿐만 아니라 캠프 전략까지 총괄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이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캠프에 합류하면서 전통적 지지층뿐 아니라 중도층까지 끌어안는 '합리적 보수' 이미지를 더욱 각인시켰다는 분석도 나온다.

"입바른 소리하다 보니 한동훈과 닿았다"


김 전 최고위원과 한동훈 후보와의 인연은 비교적 최근이다. 2024년 총선을 앞두고 당 비대위원장을 맡았던 한동훈 후보가 국민의힘 조직부총장을 권유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한 후보가 법무부 장관 시절엔 "법무부장관을 대선 후보로 거론하는 건 옳지 않다"고 언급했고, 비상대책위원장 취임을 앞두곤 "차라리 원희룡이 낫지 않냐"며 비판했었기에 의외의 결정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한 후보자는 오히려 김 전 최고위원 특유의 '입바른 소리'에 주목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에 대해 "논리가 없는 단순한 비판자는 아니라는 인상을 받았던 것 같다"며 "그런데도 함께 하자는 한 후보를 보면서 본인과 다른 얘기를 하더라도 포용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한 후보가 김 전 최고위원과 함께 하기로 한 것은 비상대책기구 경험이 많아 쇄신 등 역할에 잔뼈가 굵다는 점도 고려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는 2022년 이준석 가처분 신청 일부 인용 등으로 당이 어려움을 겪을 때 정진석 비대위 구성원으로 힘을 보탰고, 동시에 혁신위 대변인 역할을 수행하며 당 쇄신의 전면에 나선 바 있다.

김 전 최고위원은 22대 총선 당시 한 후보가 열의를 갖고 임한 점에 주목했다. 그가 손바닥에 반창고를 붙이고 선거 막판 17곳에서 강행군을 이어가는 것을 보면서 진정성을 느꼈다는 후문이다. 그는 경기 고양 병 지역구에 출마해 낙선했지만, 이후에도 한 후보와 인연을 이어갔다.

백서 논란과 결심의 순간

2024년 총선 참패 직후 국민의힘이 '총선 백서'를 추진하면서 당내 갈등은 절정에 달했다. 총선 백서 추진 과정에서 소위 '한동훈 책임론'이 부각됐고, 친윤(윤석열)계를 중심으로 한 후보에 대한 공격이 잇따랐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때부터 기득권 정치인 중심의 정치가 아닌 세대교체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과거처럼 중량감 있는 중진을 찾기 힘들다"며 "이전의 소장파 모습도 찾기 힘들다. 초선들이 앞장서서 권력에 줄을 대는 모습에 절망했다"고 했다. 1996년 기자로서 보수당에 출입했을 당시보다 오히려 퇴보한 모습에 개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가 한동훈을 택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김 전 최고위원은 "30년 넘게 기자 생활을 했지만, 공공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확실히 얘기하는 인물이 한동훈 후보자와 윤희숙 의원 단 2명뿐이었다"고 말했다. 이후 그는 한 후보에게 당 대표 출마를 재차 권했다. 한동훈 후보가 국민의힘 대표가 되는 데 큰 역할을 한 셈이다. 한 후보는 당 대표에 취임하자 그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선임했다.

한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김 전 최고위원의 역할은 더 커졌다. 캠프 내부에서 김 최고위원은 메시지 총괄과 전략 자문 역할을 겸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의 캠프 합류는 단순한 외연 확장 이상의 함의를 지닌다는 평가가 ㅁ낳다. 그는 과거 여러 유튜브 채널에 출연하며 '문재인 정부 심판'을 강하게 외쳤지만, 극우 세력과는 확실히 선을 긋는 모습을 보여왔다. 실제로 그는 한 인터뷰에서 “보수는 더 이상 '화를 내는 정치'에 머물러선 안 된다"며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말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서울 출생(1962) △서울대 정치외교학 학 △중앙일보 기자(1987~2003) △중앙일보 워싱턴 특파원 △중앙일보 정책사회데스크 △중앙일보 사회에디터·문화스포츠에디터 △중앙SUNDAY·중앙일보 편집국장 △중앙엠엔씨 대표·마케팅본부장 △JTBC 보도제작부문 대표이사 △경제사회연구원 미디어센터장 △국민의힘 고양시병 당협위원장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국민의힘 조직부총장 △국민의힘 원외당협위원장협의회장 △국민의힘 경기-서울 리노베이션TF 위원

양현주 기자 [email protected].
박주연 기자 [email protected]